올해부터 내원검진으로 검진제도가 바뀌어 진행되고 있는 학생구강검진이 일부 구에서는 거부되거나 변칙이 동원되는 등 파행적으로 운영되고 있어 문제가 커지고 있다.
서울지부(회장 김성옥)는 그동안 서울시교육청, 서울시보건교사협의회 등과 여러차례 학교구강검진 관련 간담회를 갖고 문제점과 개선점을 전달해 왔으나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있다.
일부 구에서는 치과의사가 없는 건강검진기관에서 임시로 치과의사를 고용해 검진을 담당하게 하거나 사무장들이 학교를 돌며 로비를 통해 단체로 검진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심지어 버스까지 동원되는 사례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서울지부는 그동안 지난달 5일 열린 구회장협의회와 회장단 및 관련임원 대책회의를 개최한데 이어 지난달 18일에는 각구 치무이사 및 보건이사 연석회의를 열고 대책을 논의했다.
서울시교육청의 올해 학생검진 실시 계획에 따르면 학생구강검진은 전산처리 능력을 갖춘 검진기관을 선정토록 하고 통계표도 검진기관에서 하도록 하고 있어 큰 반발을 사고 있다.
서울지부에서는 “프로그램당 39만원에서 50만원에 달하는 금액으로 서울지역에서만 15억에서 20억이라는 비용이 소요될 것”이라며 “전산프로그램이 없어도 검진기관으로 선정될 수 있도록 하고 학생건강검진 통계표는 해당학교에서 작성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서울시교육청 등에 적극 건의하고 있다.
이준규 서울지부 부회장은 “학교구강검진이 상당히 어려움을 겪고 혼란스럽기도 하다”면서 “보건교사협의회와 교육청과 여러차례 간담회를 갖고 서울지부 입장을 설명했다”고 밝혔다.
김소현 치무이사는 “어려운 부분일 수 있지만 구강검진을 보이콧 할 수는 없다”면서 “차후에는 1, 4학년 뿐 아니라 나머지 학년도 의무화 하도록 하고 내실있는 검진을 위해서는 학생들이 적절히 분산돼야 하고 구치과의사회가 어느정도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학교와 접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종기 영등포구 치무이사는 “검진기관에서 버스까지 동원해 벌써 검진을 마친 학교도 있다”면서 “과연 우리 치과의사들의 권리와 권익이 없어지는 것 아니냐”고 항의했다.
박영섭 관악구 회장은 “학교측에서는 치과의사회와 상관없는 일이라며 만나려 하지도 않고 있다”며 “검진센터 사무장들이 학교를 돌며 계약하라고 로비도 하고 있는 등 이미 파행적으로 운영되고 있는만큼 치협이나 서치에서 거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순호 강남구 회장은 “별도의 프로그램도 구입하고 진료외적인 통계처리도 하라는 등 지나친 부분이 많다. 개원가의 경영여건도 좋지 않은데 회원들의 불만이 높다”고 전한 뒤 “이런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서울지부나 치협에서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야 했다”고 아쉬워 했다.
이윤복 기자 bok@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