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특별임상강좌/(가칭)대한장애인치과학회(1)대주제:임상가를 위한 장애영역별 치과치료]장애영역별 치과 진료 - 정신지체 및 자폐증 -

관리자 기자  2006.05.01 00:00:00

기사프린트

임 지 준 교수
서울치대 졸업
서울대 대학원 치의학박사
따뜻한치과의원 원장
대한장애인치과학회 섭외이사
대한치과마취과학회 이사
대한구순구개열학회 기획위원
재단법인 스마일 사업본부장

 

 

 모든 장애인 진료가 어렵겠지만, 그중에서도 환자 본인과 가족, 의료진 모두가 힘든 장애가 바로 정신 지체 및 발달 장애 일 것이다. 치과치료를 간절히 원하는 부모님의 마음과는 상관없이 환자 본인은 치료 자체를 강하게 거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환자와의 대화 자체도 거의 어렵다. 이러한 환자가 내원 하였을 때 어떤 방식으로 접근하여야 할까?

 

 

1. 정신 지체
정신 지체는 발육 기간 동안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지능 발달이 지체되거나 정지되어 학습 능력과 사회적응력이 정상인보다 떨어져 있는 상태로 18세 미만에 발현한다. 정신 지체 그 자체로는 질병이 아니고 중추신경계의 장애증상이며 한 가지 증상으로만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고 간질, 뇌성마비, 구강 안면기형 증후군, 정서장애 및 발달장애 등의 육체적, 정신적 장애와 연관되어 나타난다.

 

 

1) 구강 증상
(1) 치아의 이상
정신지체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으나 다른 증후군과 동반되었을 때는 아래와 같은 이상이 나타날 수 있다. 선천성 결손치, 과잉치의 출현율이 높고 맹출지연, 맹출시 위치와 순서의 이상이 많다. 원추형 치아, 왜소치 등의 형태이상과 법랑질 형성이상 등의 발생 빈도가 높다.

(2) 치주질환
불규칙한 식생활 습관, 구강위생불량으로 치은염과 치주염의 발생빈도가 높으며 간혹 심한 치조골 소실도 보인다.

(3) 부정 교합
치아의 조기상실과 이갈이, 혀내밀기, 이악물기 등의 악습관에 의한 부정교합이 대부분이며 다운증후군과 관련된 경우에는 상악골의 열성장으로 III급 부정교합의 발생빈도가 높다.

(4) 치아우식

 

구강 위생의 불량으로 발생률이 높은 편이다.

 

2. 자폐증
상호적인 사회관계나 의사소통 형태의 질적 장애 및 제한된 항상 똑같은 반복적인 관심이나 활동에 의해 특징 지워진 발달장애의 한 형태로 자폐증(Autism), 레트장애(Rett"s disorder), 소아기 붕괴성 장애(childhood disintegrative disorder), 아스펠거 장애(Asperger"s disorder) 등이 포함된다.

 

 

1) 자폐증의 특징
- 타인의 정서 표출에 대한 반응이 결여되어 있고, 흥미나 감정을 타인과 공유할 수 없다.
- 눈을 마주치는 것, 얼굴의 표정, 몸의 자세, 행동 등 대인적 상호반응을 조절하는 비언어성 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