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재 영 원장
경희치대 졸업
경희치대 대학원 석사(예방치과)
경희치대 대학원 박사(치과약리학)
(가칭)대한장애인치과학회 정보통신이사
(현)최재영치과의원 원장
다음의 내용은 필자의 1995년부터 서울시립 뇌성마비 복지회관 치과 진료실과 소아마비복지회관인 정립회관 내 치과 진료실 치료 경험, 2000년부터 도봉구 보건소 내 장애인치과진료실 치료, 본 의원에 내원하는 장애인들의 치과 치료를 통해 얻은 장애인 치과 진료시의 유의점과 특수성을 여러 치과의사 선생님들과 공유하는 의미를 갖는다 하겠다. 따라서 본 내용의 경험 및 임상증례는 모든 경우에 획일적 적용이 어려운 상황이고, 서술내용 또한 통계적 유의성 있는 다양한 증례를 제시하기 어려우며, 다만 단편적 경험 및 지식이지만 이제 장애인들의 치과 치료를 시작하려는 여러 선생님들께 부족하나마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끝으로 장애인 치료 증례를 위한 사진 촬영에는 여러 가지 장애 및 어려움이 많아 구도에 맞는 구강 내 촬영이 쉽지 않음을 양해 바란다.
1. 장애인의 치과 치료 전 장애 유형별 장애인 기왕력 기록을 통하여 장애인의 장애 정도와 가능한 치과 치료의 진행 정도를 결정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그림 1-a,1-b와 같은 기왕력 기록을 통하여 정확한 장애명과 합병장애, 상용약 유무, 경기 발생의 빈도와 강도를 파악함으로써 진료의 강도를 결정한다. 특히 경기 발생 시 전조 증상의 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