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특별임상강좌(가칭)노년치의학회(9)]대주제:노년치의학의 발견/노인 임프란트

관리자 기자  2006.06.29 00:00:00

기사프린트

노인 임프란트

 


이 종 진 원장
서울치대 졸업
대한구강악안면임프란트 학회장
국제임프란트치과의사회 상임이사 부회장
한치과 원장

 

 

 

 

Ⅰ. 서론
2015년에는 65세 이상의 노령인구가 전국민(4천300만)의 15%인 650만 명에 이른다. 이들 650만 명은 100% 치과환자이며 거의 모두가 치아결손으로 인한 저작문제가 주를 이루는 ‘먹는 일 과의 전쟁’인 환자들이다.
Middle aged group(중년층)인 45~65세의 재래식 임프란트 치료수요보다 오히려 young old aged group(장년층)인 65~74세 사이의 인구가 보다 적극적인 치과 임프란트 대상이며, 75~85세 사이의 정노층(old old aged group) 역시 동일하다. 이미 임프란트학은 95세 환자에게도 높은 성공률을 보이고 있다.
노인의 임프란트 적용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극복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그 주된 이유로서,

1. 사회경제적인 위치, 퇴직과 노인성 질환

2. 노인 자신의 자포자기하는 저하된 가치관의 정신적 문제

3. 세부적으로 전신적 기능저하를 가져오는 바
① 근육용적의 23% 감소
② 골조직의 10%이상 지방축적
③ 호흡순환작용의 28% 저하
④ 타액선 기능의 50% 저하

4. 치과의사의 내과적 지식을 요하는 부분

5. 노인이기 때문에 임프란트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는 거의 드물다는 사실

Ⅱ. 병력평가
1. 사회적 치과적 위험성 추정 및 예후평가
① 범주 - 1
어떤 의학적 연관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는 치과환자
② 범주 - 2
치과치료를 받기 위하여 어떤 예외적으로 고려해야 할 의학적 상태에 있는 치과환자
③ 보조기 및 장기이식 환자 / 중증도의 기본치료 가능
④ 치과치료를 위하여 가료가 필요한 환자
⑤ 남은 생명이 얼마 되지 않는 환자

 

 

2. 치과치료의 예후평가 고려사항
① 의학적 물리적 상태
② 구강보건 상태
③ 심리학적 요구
④ 의식수준
⑤ 사회적 지위
⑥ 가족관계
⑦ 물리적 한계
⑧ 내원빈도
⑨ 경제상태
⑩ 의사소통
⑪ 각종 법적조처

 

 

Ⅲ. 임프란트 적용금지 질환
1. 내분비계 질환
내분비 내과의사와의 공조가 필요함. 모든 진료기록, 예후 등은 자세한 기록을 요한다.

2. 육아종 질환
와그너씨 육아종, 기도육아종, 정중선부육아종, 유전성 만성육아종, 결핵, 나병

3. 심장맥관계 질환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직립성 저혈압, 대동맥 질환군

4. 혈액질환 및 조혈장기 이상
철저한 혈액의사와의 공조가 요청되며 개인의원 수준의 진료는 피한다.

5. 결체조직 질환
상병명과 그 기전을 이해하면 개인병원 진료에 상대적으로 포함시킬 수도 있다.

 

사례 ㄱ. 흑모성 설
ㄴ. 피부모세포 출혈성 발적
ㄷ. 구강건조증
ㄹ. 류마치성 관절염
ㅁ. 쉐그렌씨 증상(Sjogren"s syndrome)
ㅂ. 피부근염
ㅅ. 과민성 혈관염

6. 면역결핍성 질환
구강 내과적 치료를 요하는 분야이나 임프란트 적용은 극히 주의를 요한다.
상대적 진료가능 질환
ㄱ. 편평태선(phemphigus vulgaris)
ㄴ. 심상성 낭창(lupus vulgaris)

7. 악골 및 인접부의 방사선 조사
환자의 상태에 따라 골소주(trabeculae)의 정밀진단 및 pilot drilling을 요한다.

8. 알콜 - 약물 오남용
정신과 의사와의 공조를 요함

9. 정신이상
10. 심내막염 - 판막질환
11. 골의 대사성 기타질환
12. 면역 억제제 치료
13. 마취·항생제 알러지

 

 

Ⅳ. 결론


노인의 약 30% 이상은 성인병을 비롯하여 자신도 모르게 진행 중인 전립선 암, 신체기능 저하로 인한 자신감 결여, 사회경제적 소외와 궁핍으로 인한 삶에 대한 포기적 사고가 만연된 상태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