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정부 전자태그 감염성폐기물 관리사업 추진 “진료 불편 없도록 사전 홍보”당부

관리자 기자  2006.07.17 00:00:00

기사프린트

자재위, 환경부 산업폐기물과와 간담회


정부가 추진하는 전자태그(RF 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감염성폐기물 관리시스템 사업과 관련해 치협은 각 병·의원에서 진료에 불편없이 RFID사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신경써 줄 것을 당부했다.


치협 자재위(위원장 마경화)는 지난 7일 환경부 산업폐기물과와의 간담회를 갖고 추진되는 RFID사업에 대한 의견을 나누며 서로간의 협조를 구했다.
이날 마경화 자재이사는 “현재 추진중인 RFID사업이 수집·운반 및 처리업체와 대형병원 뿐 아니라 일선 소규모 병의원들도 진료에 불편이 없고 혼란 없이 이뤄질 수 있도록 사전 홍보 등에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


염정섭 사무관은 “이 사업이 정착되면 사용자 측면에서도 현행 종이전표 또는 인터넷 입력(적법처리시스템)이 갖고 있는 수기 입력으로 인한 오류, 입력기한 초과, 운반내역 출력물 전달 등의 애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아울러 염 사무관은 행정기관 측면에서도 불법투기와 2차 오염 방지 등 환경오염을 적극적으로 막을 수 있으며 투명하고 신속한 폐기물 관리를 통해 부적정 처리감시에 있어서도 효율화를 꾀할 뿐 아니라 이외에 종이장부에 손으로 기록하거나 일일이 직접 입력해야 하는 인력 및 시간 등도 상당부문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RFID 감염성폐기물 관리시스템은 전자태그가 부착된 감염성폐기물 보관용기가 리더기를 통과하는 순간 폐기물의 운반·처리과정에 대한 정보가 환경자원공사에 설치되는 중앙전산시스템으로 실시간 전송된다.


환경부에 따르면 RFID 관리시스템 사업의 빠른 정착을 위해 무상으로 ▲중·대형병원에는 고정형리더기, 태그 발행기, 전자저울 등이 제공되고 ▲소규모 병의원에는 수집·운반자의 휴대형리더기에 배출 사실을 인증할 수 있는 인증카드가 제공된다.
환경부는 RFID사업과 관련해 올 12월까지 전국 병의원에 무상으로 RFID 관련 장비를 설치하는 등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며, 이번 본사업 준비가 마무리되는 2007년부터는 이 시스템 사용을 의무화할 방침이다.
신경철 기자 skc0581@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