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구강병리과 진료 반드시 필요”

관리자 기자  2006.09.04 00:00:00

기사프린트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회장 이석근·이하 구강병리학회)가 최근 일부 사립대 치과병원의 구강병리과 폐쇄 결정 등의 위기를 겪고 있는 것과 관련 의견서를 내고 구강병리과진료 당위성을 설명하고 나섰다.


구강병리학회는 “전국 구강병리학과 교수들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 묵묵히 맡은 바 소임을 다해 왔으나, 최근 일부 치대 치과병원에서의 구강병리과 폐쇄 결정과 교육기관에 구강병리 진단을 요구하는 등 웃지 못할 상황까지 벌어지고 있다”고 토로했다.
위와 같은 배경에는 국내의 독특한 의료 환경, 열악한 재정 및 보험수가, 구강병리 전문 인력 부족과 미숙한 치과 의료 제도 등이 한몫하고 있다. <2006년 6월 8일자 3면 참조>
이에 구강병리학회는 “치대 치과병원의 구강병리 진단을 위해 의료법 (법률 6909호) 제 30조 (의료기관개설의무) 및 69조 (제30조 위반 벌칙), 의료법 시행규칙 (보건복지부령 268호) 제 18조 (검사기록보존의무) 및 제 30조 (진료과목표시)에 의거, 치과병원 내 구강병리과를 설치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아울러 구강병리학회는 “구강병리과가 설치되지 않은 치과대학 부속 치과병원의 구강병리진단 행위는 보건복지부 고시에 따라 보험 급여를 산정하거나 요청할 수 없다”면서 “나아가 의료법과 국민건강보험법에 보호를 받을 수 없는 불법 진료행위임을 알린다”고 설명했다.
구강병리학회 관계자는 “2006년 9월 1일부터는 치과병원의 진료업무로 인정받지 못하는 치과대학의 구강병리학교실에서는 진료행위를 할 수 없다”면서 “여건상 진료과 설치가 어려운 치대 부속치과병원의 경우도 의료법 제 55조 전문의 규정에 따라 병리과 구강병리과 의사가 진료를 할 수 있도록 권고한다”고 밝혔다.


이석근 회장은 “국내 구강병리학은 세계적인 수준”이라면서 “궁극적으로 정확하고 과학적인 구강진단을 위해서는 구강병리학의 존재가 반드시 필요하다”면서 “구강병리학회는 앞으로도 치과계 발전을 위해 헌신적으로 노력할 자세가 돼 있다”고 밝혔다.
김용재 기자 yonggari45@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