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동안 대정부 및 국회에 대한 치협의 정책 역량을 최대한 끌어 올릴 계획입니다.”
전민용 치무이사가 치협의 ‘대내외 정책역량 강화’라는 막중한 임무를 띠고 지난 5월 반상근이사직에 공식 취임한 가운데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반상근이사’는 상근이사처럼 치협에 항시 상주하지는 않지만 복지부, 재경부, 교육부 등 정부주무부처와 국회 등을 중점적으로 담당하면서 치협의 현안과 관련된 의료계 정책 동향을 모니터링하고 치협에 유리한 방향으로 관련 정책을 관철시키는 업무를 중점적으로 도맡아 하게 된다.
특히 치무파트 업무뿐만 아니라 보험, 법제 등 치협 전 위원회 업무를 총망라해 대내외 정책과, 연관이 있는 경우 해당 위원회의 주무이사와 협의를 통해 이를 적극 ‘보조’ 혹은 ‘리드’하면서 업무전반에 관여하기 때문에 업무 영역이 상당히 광범위 하다고 할 수 있다.
한마디로 치협의 모든 대내외 정책이 최종적으로 집결하는 일종의 ‘창구’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것.
실제로 전 이사는 치무이사 및 반상근이사 취임직후 현재까지 ▲영리법인 및 민간보험 등 의료시장 개방과 직결돼 있는 WTO와 한미 FTA 문제 ▲국립치대병원독립법인화 ▲학교구강검진을 비롯한 전체 구강검진 문제 ▲간호조무사 엑스레이 촬영 문제 ▲치과보조인력 문제 ▲최근 문제가 됐던 치과감염 문제 ▲직능별 의료법 개정 문제 등 치협의 대내외 정책과 관련 있는 주요 사안의 실마리를 풀어내기 위해 정부 부처 등을 오가며 동분서주 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일주일에 3~4일, 반나절 이상 치과를 비워놓는 일은 다반사가 됐다.
“임기동안 대정부 및 국회에 대한 치협의 정책 역량을 최대한 끌어 올리겠다”는 야심 찬 포부아래 시작한 일이지만 사실 개인적인 희생이 너무나 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 이사는 “실제 업무를 하다보니 대정부 건의 등을 위한 정책 자료가 턱없이 부족한 경우가 다반사였다. 혼자서 치과계 모든 정책 문제를 풀어내기에는 다소 역부족이라는 것을 실감 한다”면서 “치의학정책연구소 설립이 조속히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 이사는 또 “치과의사들의 경우 의료계나, 한의계 등 타 의료계 의료인들에 비해 정책에 대한 관심 및 참여도가 낮고 당장에 이익에만 급급한 경우가 많은 것 같다”며 “치과의사들의 작은 관심 하나 하나가 치협의 정책 추진에 원동력이 되는 만큼 회원들이 치과계 정책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 줄 것”을 당부했다. 강은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