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지식검색에 물어봐! 감기·성형·암 등 문의 32만건

관리자 기자  2006.09.14 00:00:00

기사프린트

77% “검색 내용 신뢰한다” 응답


최근 중요한 지식전달 체계로 등장한 인터넷 지식검색 서비스가 건강관련 분야에서도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 가운데 이 같은 현상을 분석한 사례 연구가 나와 눈길을 끈다.
미래전략연구실 장종인 연구원이 발행한 정보통신정책에 기고한 ‘네이버 지식검색 서비스에서 찾아본 건강지식 사례분석 자료’에 따르면 2006년 6월 13일 현재 다이어트, 감기, 성형수술, 암 등과 관련한 질문이 무려 32만 건에 달했다.
이중 다이어트와 관련한 질문이 11만1천4백69건으로 가장 많았고, 감기 9만78건, 암 9만1천2백36건, 성형수술 3만3백20건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례별로 질문을 보면 다이어트의 경우 ▲비법 관련 및 증상에 대한 문의 ▲법률적 지식 등 전문 지식 관련 문의 ▲특정 다이어트 상품이나 방법 문의 등이 대부분이었고 이에 대한 답변으로는 병의원 및 관련 업체의 소개나 은근한 광고성 멘트, 개인 경험 소개 등이 대부분이었다.
또 성형수술과 관련된 질문에는 ▲병원가격, 관리방법 문의 ▲유명인의 성형수술 여부 질문 ▲성형수술에 대한 타인들의 의견 구함 ▲직접적이고 사적인 질문 ▲성형수술에 대한 전문적 지식 등으로 다양했으며 이에 대한 답변으로는 전문의의 의견이나 일반인의 경험이 주를 이뤘다.


장 연구원은 이와 관련 인터넷 지식 검색이 건강 정보의 주요 수단으로 등장한 까닭으로 ▲편리함 ▲편안함 ▲다수의 동의를 통한 확실함 ▲인정받고자 하는 욕망 ▲호혜적 행위 ▲상업적 이용 ▲신뢰할 수 있는 답변의 증가 등을 들었다. 특히 장 연구원은 “구체적인 사례 중심의 질문을 할 수 있고 원하는 답을 바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언제 어디서든 질문과 답을 할 수 있다”며 “설문조사결과 지식검색 내용에 대해 76.9%(매우 신뢰 5.8%, 신뢰 71.1%)의 응답자가 신뢰한다고 응답해 지식검색 신뢰도가 상당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고 이에 대한 긍정적인 의견을 밝혔다.
장 연구원은 또 “지식검색 서비스가 지식과 지식인의 권위를 떨어뜨렸다는 부정적인 시각들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개인의 사사로운 경험이 하나하나 모여 새로운 형태의 지식을 발달시킨다고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윤선영 기자 young@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