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대한적십자사에 위탁하고 있는 혈액사업을 국가가 책임지는 차원에서 ‘국가 혈액원’ 설립이 추진된다.
보건복지부가 이기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열린우리당 의원에게 제출한 혈액사업조직 개편계획에 따르면 현재 대한적십자사에 위탁한 혈액사업을 국가 책임으로 전환 ‘국가 혈액원’을 만들기로 했다.
지난 81년 대한적십자사가 맡아 하고 있는 혈액관리는 국민 헌혈률 5% 대로 연간 2백50만명의 헌혈이 이뤄지는 등 양적 팽창이 이뤄졌다.
그러나 치명적인 에이즈 등 부적격 혈액출고와 수혈 감염사고가 매년 1회 이상씩 발생하고 있고 처리도 매우 미흡해 국민 불신해소가 어렵다는 지적이다.
혈액사업의 누적적자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혈액원 적자가 2003년도 23억원에서 2005년에는 1백1억원 대로 증가했다는 분석이다.
이와관련 이기우 의원은 “혈액사업의 근본적인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국가의 책임과 관리가 강화되고 강력한 리더십과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조직으로 재편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특히 이 혈액사업이 국립화 되면 국가 역할 및 지도감독이 강화 되고 경영의 투명성과 공공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편 외국의 경우 프랑스와 영국은 국가가 직접 관리하고 있으며 일본, 호주, 독일의 경우에는 적십자사가 혈액관리를 책임지고 있다.
박동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