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치과계 공동으로 협의·추진 필요
김관식 위원장
공청회서 주장
정부의 고등교육평가원 설립을 앞두고 치과계에도 자율적으로 대학을 평가할 수 있는 치의학교육평가원(가칭)이 조속히 설립돼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치의학교육평가원 설립추진위원회(위원장 김관식)와 치과의사국가시험연구소는 지난달 27일 서울대 치과병원 제1강의실에서 ‘치의학교육평가원(가칭) 설립을 위한 공청회’를 열었다.
이날 공청회에서 김관식 치의학교육평가원 설립추진위원회 위원장은 “교육부는 고등교육 평가 전담기구로서 ‘한국고등교육평가원(가칭)’을 설립할 예정에 있어 치의학 교육에 대해서도 자율적인 민간 기구를 먼저 구성해야만 고등교육평가원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설립이 늦어질 경우 자칫 자율적인 기구 구성이 더욱 어려워질 수도 있을 것”이라며 “정부 차원의 요구나 타율적인 기구 구성은 교육과정 평가의 원칙에도 맞지 않음으로 범 치과계가 공동으로 협의하고 노력을 진행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우리나라의 경우 1994년 이후 대학교육협의회, 교육부, 언론사 등으로부터 다양한 대학 평가가 이뤄지고 있으나 전문분야의 특성에 알맞은 평가기준을 사용하지 않고 서열화로 인해 개선보다는 이해집단간 갈등을 야기하는 문제점을 드러냈다”며 “전문분야별 평가기구는 전문직의 가장 중요한 특성인 자율규제를 가장 바람직한 방법으로 실천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치평원에서 담당 가능한 업무로 ▲치과대학(치의학전문대학원) 인정 평가 ▲치과의사 면허 ▲치과의사전문의 면허 ▲치의학교육입문시험 ▲치의학 교육기관 지원 업무 ▲교육과정 개발 ▲교육관련 연수 및 훈련 등을 제시하면서 운영의 효율성이나 시의성을 고려해 우선적으로 교육과정 평가 및 교육과정 연구, 입문시험과 면허시험 등에 대한 연구 및 조사, 분석, 평가, 관련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추진할 것을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또 치평원에는 치과계 인사 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사회각계 인사 및 학생, 전공의대표 등을 참석시키는 안을 제시했다.
김 위원장은 아울러 “치평원은 공익적인 성격을 분명히 하고 그 업무의 독립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독립 법인체로 하며 주관 정부 부처로는 교육인적자원부와 보건복지부, 법인체의 설립과 운영에는 11개 치과대학 및 치의학전문대학원, 한국치과대학학장협의회, 한국치과대학교육협의회, 치협, 치의학회, 치과병원협회, 한국치과의사국가시험연구소, 기타 치의학교육 관련 단체 등이 참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공청회에 참석한 황성환 교육인적자원부 평가지원과 사무관은 “고등교육법 개정을 추진해 고등교육평가원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며 “치평원 설립에 대해 교육부에서 내부적으로 지원할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이날 공청회에서는 또 치평원의 업무 범위에 대해 논란이 있었으나 관련 단체간의 업무 협조를 통해 전문성과 다양성을 수용할 필요가 있으며, 점차적으로 업무를 확대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한편 현재 타의료계에서는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이 2003년 11월 설립됐으며, 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이 2004년 10월에, 한국간호평가원이 2003년 10월에 창립됐다.
안정미 기자 jmah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