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한국 치의 자국 진출 요청
최근 싱가포르주재 한국대사관이 보건복지부를 통해 싱가포르내 한인클리닉 설치와 관련 희망하는 의료인을 파악해 달라는 협조 요청을 치협과 의협 등에 의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치협은 치과의료 인력의 싱가포르 진출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입장이지만 보다 상세한 정보파악 후 협조에 응하겠다는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싱가포르 대사관이 보내온 자료에 따르면 이번 협조 요청은 싱가포르에 거주하는 한인이 1만2천여 명 규모에 이르고 유학생과 부모 등 영어 구사가 어려운 한인이 증가함에 따라 현지 한인회, 상공인회 등에서 한인클리닉 설치를 우리 정부 측에 요구한데 따른 것이다.
싱가포르 대사관은 이에 싱가포르내 한인 의사의 진료행위의 경우 자국민 진료에 대해서는 상호면허를 인정하는 별도의 양자간 합의를 통해 진료를 허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실제 일본의 경우는 지난 2002년 싱가포르와 합의를 체결한 가운데 쿼터를 적용, 상대국에서 자국민을 대상으로 한 진료를 위해 상호의사를 파견하고 있는 만큼 한국의 경우도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라는 게 싱가포르 대사관측 설명이다.
싱가포르 대사관 측은 또 양자협정을 맺을 경우 상호주의에 따라 우리도 싱가포르 의료진의 한국내 진출을 허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나 싱가포르인의 한국 상주 규모가 미미해 국내의료계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대해 치협 관계자는 “치과의료 인력의 싱가포르 진출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입장”이라면서도 “현재 요청 자료에는 진출을 희망하는 의료인에 대한 정부차원의 지원과 진출기간, 개원형태(의원, 병원) 등에 대한 정보가 미비하고 세부 추진계획 등이 확정돼 있지 않아 자칫 치과의사들의 피해가 우려 된다”며 “신중히 접근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의협의 경우 싱가포르내 한인클리닉 설치와 관련 희망하는 의료인을 파악하는 모집 공고를 내보낸 직후 이와 관련한 문의가 쇄도하는 등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최근 의협 역시 “싱가포르 진출 희망 의료인에 대한 처우 및 클리닉 설치 형태, 정부차원의 입장과 계획 등이 분명하게 제시되지 않아 혼선을 빚고 있다”며 “이에 대한 우리정부 측의 구체적인 추진계획”을 복지부에 요청한 것으로 파악됐다.
강은정 기자 huma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