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자연치아 아끼기운동/창간40주년기념기획연재]치주과학 영역에서 변화되고 있는 paradigm에 따른 자연치아 보존 전략

관리자 기자  2007.01.29 00:00:00

기사프린트

 

 

예후판정지표 (4) - 치주-근관 복합병소에 이환된 자연치아의 보존전략


해부학적인 연관성에 기인해 치주병소와 근관병소는 병인 과정에 상호 기여하고 치료에 상호 영향을 준다(그림 1). 학자들 간에 분류도 다양하나 가장 간단한 분류는 다음과 같다.

(1) 1차적 근관병소가 2차적 치주병소를 유발하는 경우
(2) 1차적 치주병소가 2차적 근관병소를 유발하는 경우
(3) 치주-근관병소가 서로 병합된 경우

 


경로와 임상적 특성
전술한 바와 같이 치주질환과 치수질환은 다양한 유통 경로를 따라 서로 연관성을 가지고 영향을 주고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서로 다른 별개의 질환으로 각각 출발해 진전함에 따라 병합되는 경우를 이번 주제에서 다루도록 한다. 특성상 변연부 치조골의 광범위한 흡수로 시작되는 만성 치주질환은 역삼각형 모양의 골 흡수상을 만들고, 반면 치수질환이 치근단 병소를 유발시키면서 형성되는 골 흡수상은 근단측에서 넓고 치관측으로 점점 첨예화되는 삼각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