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기업들과는 달리 치과의 경우 작은 규모이기 때문에 쉽게 매너리즘에 빠질 수 있고 지속적으로 긴장감을 유지하기가 어렵습니다. 하지만 직원들의 자기 계발은 필요하며 이러한 밑 바탕이 치과의 성장에 큰 영향을 줍니다. 이번 호에서는 치과 직원의 자기계발과 팀 동기 유발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치과직원의 자기 계발의 어려움은 무엇입니까?
먼저 치과의 규모가 일반 기업과는 다르다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일반 기업의 경우 승진이라는 제도가 있기 때문에 회사의 비전과 개인의 비전을 어느정도 일치 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일정 규모의 회사는 단계별 계획, 목표를 직원들에게 제시할 수 있고 직원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회사의 비전과 목표에 따라 내가 어느 정도까지 성장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비전과 목표를 세울 수가 있습니다. 이에 비해 치과는 작은 소규모 업체 수준입니다. 따라서 직장이 주는 안정성 이외에 뚜렷한 비전을 사실상 주기 힘듭니다. 그리고 반복적인 직무로 인해 쉽게 매너리즘에 빠질 수 있고 지속적으로 긴장감을 유지하기가 어렵습니다.
두 번째는 스탭들의 동기 유발 상태, 상황, 에너지가 모두 다를 수 있다는 점입니다. 먼저 자신이 받고 있는 급여나 복지 조건에서 오는 만족도에 따라 동기 유발 상황은 크게 달라지게 됩니다. 또한 치과에서의 자기 위치와 그에 대한 인정에 따라 동기 유발의 차이가 올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근무 경력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도 있고 가정 상황의 문제라든지 각자 개인이 처한 직장 이외의 상황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개개인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일률적인 자기 계발을 적용하기가 힘듭니다.
치과에서의 자기 계발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합니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점은 직원들의 동기 유발 상태 파악과 동기 유발 인자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자신의 직무와 복지 조건에 대한 이해와 만족도를 파악하고 원장과 직원의 일대일 입장에서 대화를 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할 것입니다. 직원의 캐릭터나 능력, 그리고 동기 유발 요인을 원장이 파악하지 않고 다른 직원에게 일임할 경우 많은 문제점이 발생됩니다. 이러한 업무를 팀원의 고참 중에 누가 대행한다면 더 없이 좋겠지만 결국 그 사람도 치과의 직원이기 때문에 원장이 직접 관리하는 것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것입니다.
치과의 경우 자기 계발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job description 직무 분담을 먼저 명확히 하고
2. individual job expectancy 개개인별 직무 개선 목표를 정해 두어 원장과 매년 최소 1~2회 씩 점검하고 업그레이드 해 나가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