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간 maxillary sinus grafting은 흡수된 상악구치부 치조골에서 정상적인 크기의 implant 식립을 위한 일상적인 치료법이 되어왔고 long-term에서 좋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반면에 sinus elevation을 위한 lateral approach 방법 자체가 확대된 절개 및 수술범위로 인해 complication 또한 증가된 것도 사실이다. 결국 이로 인해 부가적인 술식, 치유의 지연 등을 초래하기도 한다.
가장 흔히 나타나는 complication은 membrane의 perforation을 들 수 있다. 각종 문헌에 보면 그 비율은 7∼44%까지 보고되고 있다. 또한 수술 도중에 상악동 내로의 implant migration과 수술 후 나타날 수 있는 sinus infection과 barrier membrane과 graft material의 exposure 등을 들 수 있다.
먼저 approach 도중 membrane의 천공이 발생한 경우를 살펴보면 Roberto Macoto Suguimoto 등이 IJOMI(2006;21:455-458)에 발표한 논문에서는 작은 범위의 perforation이라면 흡수성 collagen membrane으로 충분히 repair가 가능하며 implant의 예후와는 관계가 없다고 하였다. membrane이 천공될 시는 물론, graft area로의 bacteria의 침습이 우려되지만 그 외의 각종 문헌들에서도 implant의 예후와는 상관관계가 없다는 결과들을 보여주고 있다. 결국, 천공을 방지 할 수 있는 gentle한 approch와 함께 처음부터 작은 크기의 window를 계획하므로(연자의 ISA+ESA method 추천) 천공이 된 경우 window를 보다 확대하고 membrane을 이용해 정상적인 경우와 동일하게 grafting 및 implant 식립을 마무리 할 수 있다.
sinus infection이 나타나는 경우는 흔하지는 않지만 implant 실패를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complication이다. 이러한 sinusitis는 onlay graft를 한 경우와 smoker인 경우 더욱 흔히 나타난다. 증상과 증후는 fever and chill, head ache and dull pain, swelling on the affected site, purulent odor and unpleasant 등이 있다. Radiographic findings으로는 Water"s view or panoramic view에서 different image shadow of sinuses를 볼 수 있다.
Surgical procedure로는
1) Incision
broad clear cutting including affected site from 2nd premolar and to max.
tuberosity, if needed, vertical release cutting on the papillar of 2nd premolar
2)Reflection of full thickness flap to visualize the lateral wall of max. sinus
3)Sectional corticotomy by #15 scapel blade should be a trapezoid bloc form not
to drop into the sinus (to form mosaic surgery)
4)Puncture of membrane to irrigate antibiotic solution strongly
5)Removal of the origin of infection implant or bone graft materials
6)Insert rubber drain and fix with surrounding tissue
7)Every day dressing with antibiotic solution
8)Swift suture after sign and symptom 순으로 행할 수 있다.
마지막 complication은 상악동내로 implant가 빠지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런 경우는 흔히 2가지 원인으로 나타난다. 약한 골질에서 internal approach로 접근하는 경우 식립시 부주위 또는 약한 초기고정으로 인해 implant fixture를 내부로 밀어 넣거나 또는 implant와 상악동이 근접하게 식립된 상태에서 sinusitis가 심해지는 경우 peri-implantitis로 인해 상악동내로 들어 갈 수 있다. 특히 이 경우에서는 foreign body로 작용하여 infection을 초래하기 때문에 반드시 제거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