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정기춘 원장의 치과경영 Q&A

관리자 기자  2007.03.19 00:00:00

기사프린트


치과의 안정과 성장을 위해서 개원의는 "단기적인 이익 관리"와 "장기적인 비전 수립"을 동시에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치과 팀 전체의 지속적인 자기 계발과 팀 동기유발이 필요합니다. 지난 호에 이어 치과의 장기적인 안정과 성장을 위해서 필요한 직원들의 자기 계발과 팀 동기 유발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치과 스탭의 경력관리의 기준과 원칙은 무엇입니까?

 

다른 비즈니스도 마찬가지이겠지만 치과의 경우 스탭의 수준이 단순 도우미(Helper)인가, 프로듀서의 역할을 하는가(Producer)에 따라 치과의 발전과 수익이 달라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단순 도우미란 경력이 부족해서 간단한 보조 직무를 담당하는 경우를 말하기도 하지만 치과 경력이 어느 정도 되더라도 주어진 직무 이외에는 적극성이 떨어지거나 환자 응대나 관리 능력에 차별화를 보이지 못하는 직원을 포함합니다. 치과의 경우 환자 응대의 대부분이 직원들을 거치기 때문에 직원들의 의사 소통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프로듀서의 능력을 발휘하는 직원이란 세심한 환자 관리를 담당할 수 있는 능력과 캐릭터를 가진 사람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프로듀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스탭의 구체적인 기준은 무엇이고 어떻게 선발해야 합니까?

 

잘 되는 치과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무엇보다 직원들의 역량이 뛰어나고 직무 분담이 잘 되고 있는 곳입니다. 또한 모범적인 역할을 보일 수 있는 스탭이 많아 새로 들어온 직원들의 역할 모델이 되기에 충분합니다. 여러 팀이 있는 규모가 있는 치과의 경우 팀장의 수준이 고르고 숙련자와 경력자, 초보자의 역할 분담이 잘 되어 있어 초보자의 경우 숙련자의 역할과 조건을 보고 비전을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프로듀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직원의 조건은 필요한 능력을 잘 갖추고 리더십이 뛰어난 직원이 후보가 되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필요한 리더십은 무엇일까요? 리더십에 관해서는 여러 원칙이 있겠지만 치과 고참에게 필요한 원칙을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프로듀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치과 고참에게 필요한 리더십의 원칙


1. 태도와 행동이 평상시 말과 일치할 것
2. 솔선 수범 몸소 보여주고 실천하기
3. ‘이치’도 중요하지만 ‘덕’으로 사람을 움직일 것
환자응대나 커뮤니케이션에서 고참이 신참에게 보여주는 리더십은 단순히 조언을 하는 것에서 벗어나 직접 행동으로 보여 줄 수 있어야 합니다.
원장이나 윗 사람이 환자에게 배려하는 마음과 세심한 자세를 보였을 때 보다 설득력이 있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