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공치아에 대한 임상적 성공은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인공치아시술 후 치유기간 동안 무치악의 상태나 가철성의치에 대한 거부감으로 많은 환자들이 고통을 겪고 있다.
인공치아 시술 후 무치악의 치유기간을 거치는 환자의 두려움에 대한 요구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점진적 조기부하(progressive early loading)에서 부터 즉시 부하(immediate loading)까지 성공적 골유착과 함께 조기의 치유를 위한 많은 연구와 노력이 현재 거듭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여전히 ‘인공치아와 생체조직간(implant and living tissue) 간의 골계면(implant interface) 최적합 상태’, “‘최적의 표면처리상태와 골세포(surface treatment and cell adhesion)간의 치유속도(wound healing rate)’, 그리고 “인공치아이식의 최적 시기(optimal placement time)는’등 수많은 질문에 대한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으며, 여전히 임상적 data의 결과에 대한 가정은 있으되 명확한 과학적 근거와 이론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1973년 Cameron등은 인공치아에 대한 mechanical factors는 인공치아와 bone 사이의 interface에 fibrous tissue를 게재시키는 원인된다고 하였으며, 1992년 S·balle 등은 dog 시험을 통하여 TPS coated implant를 stable 및 unstable condition으로 실험한 결과, 150um micromotion에서 골계면에서는 fibrous tissue가 게재되었으며, stable condition에서는 bone anchored가 형성되었다고 보고하였다.
Ericsson(Clini Oral Impl Research 2000;11: 26-33)등은 Branemark implant를 이용하여 single crown restoration으로 즉시 기능부하를 하여 18개월간의 연구결과, 즉시 기능부하는 86%, standard protocol는 100% 성공률 보였으며, 양자 공히 0.1mm의 골 결손을 보였다고 하였다.
Malo 등의 실험을 통하여 상악의 전치부 즉시부하에서 인공치아이식 시 primary stability 증가를 위하여 underpreparation of apical osteotomy를 하고 교합방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조정한 경우 하루에 10개피의 담배를 피우더라도 성공률에 대한 결과는 담배보다는 초기고정의 중요성을 더 강조하였다.
즉시부하와 타당성과 관련한 연구논문에서 인공치아의 표면처리의 형태(topography)와 osteoblasts의 cell modulation연관한 골세포의 증식활동의 다양성, surface roughness와 osteoblastic activity의 증가와 조기 골침착(early bone apposition) 그리고 인공치아 이식 시 placement torque와 removal force의 생체공학적 분석(biomechanics analysis)과 조직세포의 형태학(histomorphology)등 은 인공치아의 거칠기와 골세포의 접합성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고 하였다.
이를 근거로 또 다른 연구문헌에서 인공치아의 이식 시 mechanical stress는 조직세포의 괴사내지는 변성을 그리고 골계면의 healing phase를 방해한다고 하였다.
George E. Romano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2;17:44-51)등은 즉시부하에 대한 인공치아의 인접골의 조직학 및 조직형태학적 고찰에서 하악의 구치부에서 즉시부하 후 골유착을 일으키는 데는 지연 부하와 마찬가지로 같은 조직반응이 나타나며, 즉시 부하 시 threaded portion에서 더욱더 강한 골유착 현상을 보인다고 하였다.
결국 즉시부하는 mechanical primary stability를 위한 부분적 necrotic zone의 벽을 이용하고, secondary biologic stability의 bone remodeling을 통한 bone mineralization apposition rate간의 상호 보완작용에 의한 골조직의 치유과정의 타당한 논리를 이해하는 술식의 이론으로 정의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