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의술 다양화” “임상 통계 부족”설전

관리자 기자  2007.04.16 00:00:00

기사프린트

김춘진 의원 ‘보완대체의료’토론회 성료


김춘진 의원이 주최한 보완대체의료활성화를 위한 정책토론회가 지난9일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250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이날 열린 정책토론회에서 이규정 민중의술살리기 전국연합 회장은 “국가가 개인의 생명과 건강을 책임지지 못하는 이상 환자의 치료방법 선택권을 제한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면서 “환자에게는 면허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치료능력이 중요한 것이며 생명이 고통 당하면 누구나 의사면허에 관계없이 유능한 치료수단을 찾을 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 회장은 “1962년 의료법제정 시 모든 민족민중 의술의 시술권이 갑자기 한의사에게 독점됐다”며 “특히 양 의학은 태생적으로 돈이 많이 들게 돼 있고 양 의학 중심제도를 취하는 한 세계 어느 나라도 의료비의 폭발적인 증가를 감당할 길이 없다”고 한의학과 일반의학 양측을 모두 비판했다.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이 회장은 “전승되고 현존하는 민족민중 의술을 종류, 시술방법, 효능 등을 정부는 자세히 조사해야 하며 이에 따른 면허(자격)의 종류를 의술의 종류에 따라 다양화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오홍근 전주대 대체의학대학 학장은 활성화 방안으로“우리 나라 대체의학이 정체성을 가지고 자리잡기 위해서는 학문적 바탕과 임상실험 데이터를 축적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정책토론회에서는 특히 의협 대표가 토론자로 나와 눈길을 모았다.


김형규 의협 보완의학전문위원회 위원장은“우리 나라는 보완의학과 관련된 정확한 통계를 가진 것이 많지 않다” 면서“ 보완의학관련 치료 방법이 안전한 것인지, 효과가 있는지도 구체적 자료가 없는 만큼, 이를 연구할 정부 출연 연구기관을 설립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동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