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협회장, 유시민 장관 직접 만나 친서 전달
유 장관 “꼭 읽어보겠다” 밝혀
“독자적인 구강보건행정 전담부서는 우리 치과계로서는 독립운동과 같은 사안입니다. 구강보건이라는 팀 명칭마저 사라진다는 것은 일제시대의 조선총독부에서 조선이라는 명칭마저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보건복지부내 구강보건팀 사수를 위해 총력을 쏟아붓고 있는 안성모 협회장이 유시민 복지부장관을 직접 만나 친서를 전달하고 현명한 판단을 내려 줄 것을 간곡히 부탁했다.
안 협회장은 지난 3월 15일 의료법 개정 공청회 개최 이후 구강보건팀 해체 소식을 접하고 공식·비공식 라인을 동원해 유 장관의 면담을 추진해 왔으나 면담이 성사되지 않자 지난 16일 장관실을 전격 방문, 유 장관을 직접 만나 친서를 전달했다.
현재의 구강보건팀을 공중위생팀과 합쳐 ‘생활위생팀’으로 통폐합하려는 복지부의 직제개편안에 대한 장관의 결재가 남아있는 가운데 유 장관에게 전달된 안 협회장의 친서가 복지부의 최종 방침 결정에 어떤 역할을 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안 협회장은 “워낙 긴급한 사안이어서 유 장관을 직접 만나 치과계의 입장이 자세히 담긴 친서를 전달했다”면서 “시간의 제약 때문에 짧은 대화와 친서로 대신했지만 유 장관이 친서를 직접 받고 꼭 읽어보겠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 자리에서 유 장관은 “그동안 안 협회장을 만나도 뾰족한 답을 주기 어려워 만나지 못했지만 충분히 생각하고 있다. 검토중에 있다고 밝혔다”고 안 협회장은 전했다.
안 협회장은 유 장관에게 전달한 A4 용지 6장 분량의 친서에서 우리나라 치과계에 비해 우리정부의 구강보건 행정 역량은 선진국에 비해 너무 열악한 상황”이라면서 “구강보건전담부서마저 없어진다면 국제적인 망신이 아닐 수 없을 것이다. OECD 국가 중 가장 구강건강이 나쁘면서도 구강보건전담부서가 없는 유일한 국가라는 오명을 우리나라가 차지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 협회장은 또 “구강보건이라는 팀 명칭마저 사라진다는 것은 일제시대의 조선총독부에서 조선이라는 명칭마저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것과 같은 것”이라고 지적하고 “만약 구강이라는 명칭이 정부 조직표에서 없어진다면 치과계는 정부와 함께 구강보건사업을 전개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의 열악한 구강건강 현실과 구강보건 행정체계를 선진국의 예와 비교하며 설명한 안 협회장은 “구강보건행정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선 절대적으로 부족한 복지부 내 구강보건 전담부서의 인원과 사업을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안 협회장은 “최근 구강보건팀은 연간 110억원이라는 매우 초라한 예산과 적은 인원에도 불구하고,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을 위시해 매년 9000명의 저소득층 노인에게 무료틀니를 제공하고, 20만명의 초등학생에게 치아홈메우기를 실시하는 등 조직 설치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획기적인 사업들을 기획해 체계화하는 성과를 거두어왔다”면서 “이런 성과들을 바탕으로 구강보건사업을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확대 추진한다면 구강보건선진국의 대열에 합류할 날이 꼭 오리라 확신한다”고 밝혔다.
서신 말미에서 안 협회장은 “구강보건 전담부서 명칭과 사업 내용과 관련해 현명한 판단을 내려 불필요한 반목과 대립으로 낭비할 역량을 국민을 위한 구강보건사업에 쓸 수 있도록 해 달라”고 간곡히 요청했다.
이윤복 기자 bok@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