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호에는 최근 치과 경영 환경에 대한 진단 및 전망에 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Q 최근의 치과 경영 환경에 대해 간략하게 표현한다면?
A 현재의 치과 경영 환경은 그야말로 ‘거친 파도의 바다 한 가운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각종 제도의 변화와 압박은 지속적으로 가중되고 이에 대한 불안은 시설 투자 및 규모의 증가와 공동개원과 네트워크라는 대안으로 선택되고 있습니다. 조사 결과 최근의 단독 개원의 매출과 수익은 뚜렷한 양극화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과거 10년 동안 비교적 안정적인 운영을 유지했던 곳들도 최근에는 20~30%의 수익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여기에 임대비와 인건비 등의 고정 비용 상승과 여러 제도의 변화들로 인해 치과의 실질 수익은 감소하고 있습니다.
이에 비해 고가의 시설과 장비에 대한 경쟁적인 투자는 요구되고 단순히 불안 심리로 인해 충분히 준비되지 않은 치과 합병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중심을 잃지 않고 지속적으로 뚜렷한 성장을 하고 있는 치과들이 여전히 있습니다. 결국 개원 환경은 늘 변하고 있습니다만 항상 평균이상의 그룹과 평균 이하의 그룹은 존재하기 마련입니다.
Q 개원 규모의 증가에 따른 현상은 어떻게 평가할 수 있습니까?
A 개원 규모의 증가는(Up Sizing) 지금 트렌드가 되고 있지만, 앞으로의 치과 경영의 승부는 치과의 크기와 상관 없이 환자에게 얼마나 인정받으며 실질적인 순 이익(Real Net Income)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내느냐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신의 철학에 맞고 조절, 관리할 수 있는 치과 운영으로(controlled practice) 경영 스트레스를 최대한 줄이고, 자신의 능력에 적합한 치과 규모를 유지(Right Sizing) 하는 것이 더욱 필요한 시점입니다.
보이는 것에 연연해 한다거나 트렌드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것보다는 본질에 집중하고 진료 철학과 원칙을 더욱 굳건히 하는 경영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입니다. 조절, 관리할 수 있는 치과 운영으로 경영 스트레스를 최대한 줄이고, 자신의 철학과 능력에 맞는 치과 규모를 유지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결국 어떤 규모를 선택하든지 그 규모를 운영하는 능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Q 개원의의 실질적 수익 목표는 어떻게 설정되어야 합니까?
A 개원의는 본업인 진료 이외에도 자본과 경영을 투자한 상태입니다. 따라서 개원의의 실질 소득도 이러한 부분을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개원의의 실질 소득은 근무의(pay doctor)들이 받는 급여를 기준으로 볼 때 최소 3배 이상의 순익을 창출해야 합니다. 이는 치과 경영의 가장 현실적인 경영 지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