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미리보는 2007 치협 학술대회]심포지엄 ® - 전치부의 심미 임프란트 수복

관리자 기자  2007.05.10 00:00:00

기사프린트


■치조골 상태에 따른 임프란트 수술법


● 증거바탕 임프란트란 무엇인가?
● 임프란트 치료의 궁극적 목적은?
● 골질
● 불량 골질일 경우
1. 거친 표면 임프란트 선택
2. 스크류 형태 임프란트 선택
3. 첨형 또는 평행형 임프란트의 선택
4. 골응축
5. 카운터 싱크 하지 않는다
6. 자가 탭핑
7. 골질에 의존한 삽입
● 골양
1. 임프란트의 선택
2. 직경선택
3. 삼차원적 (입체적) 위치
4. 임프란트 식립하기 부족한 골양
● 임프란트의 선택
● 임프란트 직경의 선택
● 심미를 위한 삼차원적 위치
1. 협설방향
2. 근원심방향
3. 치관-치근방향
● 치조정상방 치은조직
1. 대개 3∼5 mm
2. 일반적으로 유전적이다
3. 생체형과 연관이 있다
4. 조직두께와 근거한 식립
● 잔존 치조제 결손의 분류
● 골형성법
1. 입자형 골이식
2. 블록골 이식
3. 골도를 이용한 골팽창
4. 골유도재생술
5. 성장인자의 이용
6. 조합
● 골유도재생술의 분류
1. 동시법
2. 단계법 (Buser et al., 1995)
● 단계법의 장점
● 동시법의 한계
● 선택근거
1. 초기고정
2. 보철을 근거로한 식립위치
3. 임프란트 주위골결손 크기
4. 일차의도 폐쇄여부
● 치조제 증대술
1. 수평증대
2. 수직증대
● 수직골증대의 한계
● 골형성의 어려운 점

 

 

 


■연조직, 얼마나 만들어 줄 수 있나?
류인철 교수/서울치대 치주과학교실

임프란트의 성공적인 치료는 기능성과 심미성이 만족될 때 이뤄진다.
심미적으로 우수한 임프란트를 얻기 위해서는 임프란트 식립 부위의 경조직 및 연조직 형태가 양호한 환경을 갖춰야 한다.
이러한 두 조직의 형태를 개선하는데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연조직 처치술들이 있다. 경조직 형태를 개선하기 위해 골유도재생술이나 골이식술을 이용한다. 경조직의 양적 증가를 수용하고 이식재나 차폐막의 노출과 같은 부작용을 피하기 위해 연조직 처치술이 중요하다.


또한 연조직 처치술은 임프란트 식립 시 또는 이차 수술 시에 임프란트 주위조직이 보철물과 자연스런 조화를 이루도록 각화조직의 양을 늘리거나 조직의 두께를 증가시키는데 이용된다.
임프란트 보철물 주변의 위생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정을 깊게 하고 각화조직의 폭을 증가시켜주는 수술에서부터 요즘 널리 시행되고 있는 즉시 식립 시 primary closure를 위한 연조직수술, 그리고 심미성을 개선하기 위한 전치부 수술법 등을 문헌고찰과 임상증례들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1. Free gingival graft
2. Apically postioned flap
2. Modified roll technique
3. Free connective tissue graft
4. Rotated palatal pedicle flap
5. Periosteal releasing incision

 

 

 


■전치부 심미를 위한 임프란트 수술과 보철
서봉현 원장/뿌리깊은 치과의원

1980년대 후반에 이르기까지 Implant 성공의 관심사는 osseointergration과 fixture의 long term stability였다.
그러나 1990년대에는 Osseointergration에 대한 확신과 함께 bone volume과 height가 부족한 atrophic ridge에서 Implant수복이 주 관심사로 전환돼 많은 발전이 있었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수술과 보철수복 시기의 단축(Immediate placement & Immediate loading)과 심미적인 치은 형태와 보철 술식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전치부에 있어 세 가지 심미적 요소로 보철과 치은형태와 그 아래의 하부구조를 유지해주는 치조골을 고려한다. 연조직의 형태는 치조골에 의하여 형성됨으로 bone physiology에 대한 이해는 심미 implant의 Key factor로 중요시 되고 있다.
60∼70년대에 Atwood와 Tallgren 등에 의해 발치 후 25% 가량의 bone loss가 6개월 이내에 일어나며 3년이 지나면 40∼60% 가량의 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