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구강보건 전담부서 부활시키자”

관리자 기자  2007.05.21 00:00:00

기사프린트


조직개편 규탄 성명서·일간지 광고 게재 등 항의키로
치협 등 ‘범치과계 대책위’ 구성 대응책 모색


보건복지부가 구강보건팀을 폐지하고 공중위생팀과 합쳐 생활위생팀으로 개편하는 안이 포함된 ‘복지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이 지난 17일 최종 공포, 시행에 들어가자 치협을 비롯한 치과계가 강력히 항의하면서 대응책을 마련하고 나섰다.


치협을 비롯한 대한치과위생사협회, 대한치과기공사협회, 대한구강보건협회, 대한구강보건학회, 구강보건사업지원단, 건치 등 그동안 구강보건팀 해체관련 대책수립을 위한 범치과계 대책회의를 개최해온 범 치과계단체는 다음주 중으로(14일 현재 기준) ‘구강보건전담부서 부활을 위한 범 치과계 대책위원회’(가칭)를 구성해 본격적인 대응방향을 모색해 나갈 방침이다.
조영식 치협 기획이사는 지난 14일 “구강보건 전담부서 부활을 위한 범 치과계 협의체를 구성해 후속조치를 계속 논의해 나갈 예정”이라며 “‘구강보건전담부서 부활을 위한 범 치과계 대책위원회’에는 치협을 비롯한 범 치과계 단체가 모두 참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조 이사는 “치협에서도 협회서 하고 있던 복지부와 관련된 사업을 전면 유보하기로 결정했다”며 “다만 노인틀니사업의 경우 지역사회에서 진행중인 것은 마무리 하되 시작하지 않은 것은 유보키로 결정했다”고 치협의 입장을 설명했다.


조 이사는 “치협이 복지부와 구강보건사업을 같이 하지 않는다고 했을 때 치과계 내부에서 독자적으로 사회봉사할 수 있는 방법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치협에서는 또 6월 9일 치아의 날을 전후해 개최되는 구강보건행사 주간에 정부의 조직개편을 규탄하는 성명서 등을 발표하고 일간지에 광고를 게재하는 등 강력히 항의할 방침이다.
그동안 정부의 구강보건사업을 적극 지원해온 구강보건사업지원단은 지난 14일 백대일 단장을 비롯한 위원 전원이 복지부에 사퇴서를 제출하고 정부의 구강보건사업에 당분간 협조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확정함으로써 구강보건팀 개편에 따른 반대 움직임에 불을 당겼다.
이어 다음날인 15일에는 대한치과위생사협회, 대한구강보건협회, 대한구강보건학회, 건치 등 4개 단체가 과천정부청사 앞에서 구강보건팀 폐지 규탄과 구강보건전담부서 설치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치과위생사협회에도 구강보건팀 폐지를 규탄하는 회원들의 항의가 이어지고 있으며, 정부의 구강보건사업에 일체 협력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함께 치과위생사협회는 7월 6일과 7일 예정된 협회 창립 30주년 기념식 및 제7회 치과위생사의 날 기념식을 겸해 열리는 종합학술대회에서 복지부 표창을 거부키로 결정하는 등 강력히 항의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복지부는 지난 1997년 11월 정부중앙 부서내에 설치된 구강보건과(현재 구강보건팀)를 구강보건사업과 전혀 관련이 없는 공중위생팀과 통합해 생활위생팀으로 개편하는 조직개편안에 유시민 장관이 지난 3일 결재했으며, 지난 17일자로 직제개편이 공포돼 시행에 들어갔다.
신설된 생활위생팀 팀장에는 유수생 구강보건팀장이 내정된 상태며, 현재 2명의 사무관이 구강보건업무를 맡아 조직이 공중위생팀과 합쳐지면서 1명 사무관으로 축소될 예정이다.
또한 정책과 사업위주로 진행돼온 구강보건팀이 이발소, 목욕탕 등 민원부서 성격의 업무를 처리하고 있는 이질적인 부서와 통합되는 등 졸속으로 조직이 개편됐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장기완 전 구강보건학회 회장은 “정책과 사업이 있는 국민건강을 위한 사업부서와 이질적이며 위생과 관련된 민원부서를 한데 묶는다는 것은 졸속 개편”이라며 “이런 식이라면 전문행정은 키워질 수 없고 깊이 있는 행정이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윤복 기자 bok@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