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지난달 27일 “사회서비스도 지역 맞춤형 시대”라 밝히며 내달 1일부터 176개 자체개발형 사업에 총 220억원의 국고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대표적인 자체개발형 사업으로는 부산의 장애자녀 가구 경제활동 지원서비스, 대구의 중소기업근로자 및 가족대상 심리상담서비스, 경기도의 문제행동아동 조기개입서비스, 부산의 생애설계서비스 등이 선정됐다.
이번 자체개발형 사업의 유형별 지원현황에서 저소득층과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교육지원, 상담·치료 등 인적자본투자서비스가 49%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지원예산 비율은 경기도가 전체 지원예산의 26%(59억원)를 차지해 1위를 기록했고 서울, 경남, 부산이 그 뒤를 이었다.
시·도별 인구수를 감안해 산정한 기준금액 대비 지원비율은 강원도가 1.02%로 가장 높았고 경남(0.91%), 경기(0.73%)순으로 나타났다.
복지부는 특히, 인구수가 낮은 강원도 강릉시, 경북 울진군, 부산 수영구 등 14개 시·군·구의 경우 기준금액의 200%까지 지원하겠다는 입장이다.
홍찬자 사회서비스개발팀 주무관은 “이번 사업은 지역사회 특성과 여건에 맞는 서비스 제공이 최우선”이라며 “지역밀착 서비스로 복지체감도를 높이고 일자리 창출로까지 이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고 말했다.
한편 복지부는 이번 사업 선정 대상에서 제외됐거나 상대적으로 사업규모가 적은 지자체에게 2차 사업 개발을 실시해 약 130억을 추가로 지원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