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료원 중 상당수가 만성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데도 불구, 시설의 양적 확대만 추구하는가 하면 원장 보수를 과다하게 지급하는 등 방만 경영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감사원이 지난 6일 발표한 ‘지방의료원 운영실태 감사처분요구서’에 따르면 2005년 말 현재 전국 34개 지방의료원 결손 누적액은 3천5백52억여원이다.
이는 2001년 말 1천7백86억4000여 만원에 비해 배 가량 증가했다.
특히 서울의료원 등 3개 의료원은 완전 자본잠식 상태였고, 50% 이상 자본 잠식된 의료원도 삼척, 강릉, 군산 의료원 등 14개 의료원 이었다.
이같이 의료원 경영이 어려움에도 불구, 일부 지방 의료원은 병원장에게 과다한 보수를 지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 광역시 산하 의료원 B원장은 주당 3일 정도는 같은 지역 국립대학에서 강의나 진료를 하고 나머지 시간만 원장으로 재직하고 있으면서 연봉은 대학과 병원 양쪽에서 모두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에서는 7천6백37만원을 받았고 병원에서는 1억1천6백40만원을 챙겨 1억9천2백여만원의 연봉을 받은 것이다.
또 의사, 간호사 등 의료직 인원의 인건비 조차 나오지 않은 수익 낮은 진료과를 계속 설치운영 해 수익성 악화를 초래했다는 지적이다.
34개 의료원들이 지난 2003년부터 2005년까지 30개과를 설치하고 폐지 과는 21개에 불과했다는 것.
이에 따라 감사원은 복지부장관에게 수익성을 따져 인건비조차 못 건지는 과는 정리해 줄 것을 요구했다.
특히 감사원은 “올해부터 복지부가 급성 병상이 넘치는 광주, 울산과 병상수급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 수원, 파주, 대전지역에 급성병상 위주의 의료원 신설 계획을 추진중”이라면서 신설 계획을 재 검토 하거나, 노인치매 등 재활 담당요양 병원으로 전환할 것을 복지부에 촉구했다.
박동운 기자 dongwoo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