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전 서울시장이 한나라당 제17대 대통령 후보에 뽑혔다.
이에 따라 치협 등 보건의료단체는 이 후보의 보건의료 정책에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21일 현재 이 후보의 구체적인 보건의료정책은 아직 제시되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신당의 대통령 후보가 결정돼 본격적인 대선 경선 레이스가 시작되면 보건의료정책의 큰 그림이 제시될 전망이다.
이명박 후보가 경선 과정과 정책토론회, 이명박 캠프에서 밝히고 있는 의료정책을 종합해보면 이 후보는 ▲불임부부에게 2차례까지 시험관 시술비용을 전액지원 하고 ▲5세미만의 영유아 의료비를 면제해주며 ▲노인성 치매·중풍 환자의 경우 국가가 돌보겠다는 약속이다.
또 감기 등 가벼운 환자에 의한 보험료 급여가 30% 안팎에 이르는 현행 건강보험운영 형태를 개선, 사회적 질병에 대한 보험급여로 전환하고 국가 재정지원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는 복안이다.
이 후보는 ▲노인 복지 향상 차원에서 보청기 등 보장구에 대한 건강보험 급여 확대 지원 ▲관절염 치료를 위한 물리치료 이용 지원 ▲주치의 및 주치의료기관 제도 도입 ▲저소득노인 30%의 만성질환에 대해 무료의료(외래) 서비스 제공 등을 약속했다.
특히 강원도에 세계적인 메디컬 콤플렉스를 건설하는 것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의료와 농업 및 바이오산업 등의 의료복합단지를 구축하고 ▲생약기업 육성 및 한약재 및 유기농 재배단지를 확대하며 ▲한방 축산과 사료 산업단지를 구축해 FTA 극복을 시도하겠다는 것이다.
이 후보는 또 동양의학적 메디컬 과학기술 육성도 천명한 바 있어 한의계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박동운 기자
dongwoo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