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교육부, 학생 구강건강 힘쓴다

관리자 기자  2007.09.13 00:00:00

기사프린트

잇솔질 생활화 등 11대 건강대책 일선 교육청 하달
초·중·고 구강보건교육 등 탄력 기대


점심식사 후 잇솔질 등 학생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포괄적인 조치가 향후 5년간 추진될 전망이다.
교육인적자원부는 ▲비만예방·탈출 프로그램 운영 ▲학교 내 탄산음료 판매금지 ▲음주·흡연 등 약물남용 예방 ▲점심식사 후 양치의 생활화 ▲1일 8회 30초 손 씻기(1830) 운동 전개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 ‘학생건강증진대책’ 11대 과제를 지난 3일 발표하고 이를 전국 시·도교육청에 시달했다.
이번에 교육부가 발표한 11대 과제는 오는 2011년까지 각급 학교별로 지속 시행될 예정이다.
특히 이번 발표에 따르면 구강건강과 관련 당장 이번 학기부터는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 등의 구강질환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점심 식사 후 잇솔질을 시행토록 하고 있으며, 향후 신축학교를 중심으로 이 닦기 관련 시설을 보완한다는 방침이다.
이 같은 교육부의 발표로 인해 그 동안 구강보건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던 학생구강보건 교육 및 실천계획이 상당부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서울시의회 남재경 의원이 지난 달 서울시 교육청에 의뢰해 학생들의 양치실태를 조사한 결과 서울시내 초·중·고교 1264곳 가운데 37곳을 제외한 1227곳(97.1%)의 학생들은 대부분 치약과 칫솔을 소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학생들을 위한 전용 양치실이 있는 학교 역시 크게 부족해 전체 1264개교 중 단 6곳에 불과했다. <관련기사 본지 1576호 16면 참조>
당장 교육 및 구강보건 관련 단체들은 환영 의사를 밝히고 현장에서의 실천이 중요할 것이라고 논평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적극 환영하며 협력할 것”이라며 “사업추진을 확인·점검하는 등 입체적인 지원프로그램도 병행할 것을 주문한다”고 밝혔다.
김진범 대한구강보건학회 회장은 “그 동안 점심식사 후 잇솔질의 중요성이 강조돼 왔지만 교사들은 잇솔질을 하면서 사실상 학생들에게는 올바른 잇솔질을 하도록 지도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며 “학생 구강보건 증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조치라고 본다”고 평가했다.


김 회장에 따르면 2006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결과에서는 의료보호대상자의 경우 21%, 건강보험가입자의 경우 40% 정도만이 점심 후 잇솔질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주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초등학교 1학년의 50% 정도가 점심 후 잇솔질을 하는데 비해 6년학으로 가서는 이 비율이 10%대로 떨어졌다는 것이다.
김 회장은 “이 같은 수치가 나오게된 것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 잇솔질 습관을 길렀다가 초등학교에 들어오면 마땅한 지도를 하지 않고 또 이를 위한 시설도 없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윤선영 기자 young@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