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특집]제46회 치협 종합학술대회 발표 임상강좌/성인환자를 위한 진정요법

관리자 기자  2007.09.13 00:00:00

기사프린트

박창주
한양의대 조교수

 


최근 진정요법은 치과영역에서의 ‘블루오션’으로, ‘수면치료’ 또는 ‘무통치료’ 등의 용어로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다. 치과의원의 광고 등에도 자주 사용되고 있고 이에 관한 많은 세미나들도 진행되면서 일반인 뿐만 아니라 치과의사에게도 더 이상 낯선 용어가 아니다.
기존의 진정요법의 대상은 심한 공포나 불안으로 인해 치과치료에 대한 막연한 거부감을 느끼는 환자들이었으나 최근에는 임플랜트 시술, 특히 상악동 거상술이나 뼈이식 등의 침습적인 치료들이 일반화되면서 점차 그 범위가 넓어져 가고 있다. 이는 다양한 전신질환을 가진 고령의 환자들이 진정요법의 대상이 되고 또한 진정요법 후 합병증에 노출될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많은 치과의사들이 진정요법, 특히 가장 효과가 좋은 정주진정요법(intravenous sedation)을 시행하기를 원하지만 정맥로의 확보, 정맥 내 약물사용에 대한 이해부족, 환자의 전신상태 평가의 어려움, 진정제 투약 후 환자의 반응 등을 잘 모르기 때문에 막상 시작하려고 해도 어떻게 해야 할지 막연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 결과, 일부에서는 의원에 근무하던 간호조무사나 간호사를 고용해 정주진정요법의 시행을 일임해 버리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이는 매우 우려되는 상황이지만 막상 진정요법을 시행하려고 해도 어떤 방법을 어떤 환자를 대상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 딱히 참고로 삼을 수 있는 지침이 없기 때문인 것도 큰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이번 기사에서는 처음 정주진정요법을 접하거나 임상에서 시도해 보려는 치과의사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환자의 평가와 선택에서부터 퇴원관리까지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여러 가지 정주진정요법의 방법들이 소개됐지만 여기에서는 의식진정요법(conscious sedation)으로 단일 진정제(미다졸람)를 사용하는 간헐 점적 주입법(intermittent bolus injection)을 중점적으로 서술하겠다. 최근 다양한 장치와 여러 진정제를 사용하는 정주진정요법 방법들이 세미나에 자주 등장하고 있지만 안전성과 효율성의 기준으로 보았을 때 이 방법은 절대 부족함이 없다. 그리고 이 방법으로 약제의 효과와 환자의 반응을 확실히 익힌 후에 진정제를 복합해 사용(예를 들어 fentanyl이나 Demerol)하거나 여러 주입 장치(infusion pump)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환자의 선택
정주진정요법의 대상이 되는 환자는 크게 환자가 나름의 이유로 치과치료를 위한 진정요법을 원하는 경우와 치료를 담당한 치과의사가 환자에게 진정요법을 권유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환자가 정주진정요법을 원하는 경우에는 ‘왜 진정요법을 원하는가’와 ‘진정요법을 어떤 것으로 알고 있는가’를 정확히 파악해 두어야 한다. 그리고 치과의사가 진정요법의 시행을 권유하는 경우 환자에게 진정요법에 대한 설명과 장·단점을 미리 설명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대화 중 중요하지만 자칫 간과하기 쉬운 사항은 환자에게 ‘수면(sleep)"이나 ‘무통(pain-free)"  등의 용어를 사용하면 환자가 이해하기 쉽다는 점에서는 효과가 좋지만 막상 진정요법을 시행할 때에는 환자의 부적절한 요구에 끌려 자칫 의도했던 의식진정요법이 아닌 심진정요법(deep sedation)으로 진행되는 확률이 높으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