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상업성 건강정보 방지시스템 구축해야”

관리자 기자  2007.10.01 00:00:00

기사프린트

상업성에 치우친 무분별한 건강정보를 차단하기 위한 방지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지난달 19일 아주대의료원에서 열린 ‘의료와 멀티미디어’ 심포지엄에서 정부와 의료계, 민간의 전문가들이 나서서 그릇된 건강의학정보를 걸러내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이를 위해 그릇된 건강의학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올바른 정보는 적극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 상업적인 목적을 지닌 건강정보들이 앞으로 더욱 늘어날 것에 적극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됐다.


이날 토론에 참석한 복지부 보건의료정보팀 관계자는 “현재 국내 건강정보의 경우 인터넷 등을 통해 상업적인 의도에 의해 검증되지 않은 정보가 상당수 제공되고 있다”며 “국민들이 이를 걸러낼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한 만큼 전문가의 철저한 검증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정부를 비롯, 의료계, 민간의 관련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협력체계가 반드시 필요하며 협력체계에 들어오지 않은 정보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신경철 기자 skc0581@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