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이재용·이하 공단)이 최근 장복심 의원이 제기한 개인정보 유출 문제로 인해 구설수에 오른데 이어 이명박 대선후보 등 유력 정치인들의 진료기록을 수시로 엿봤다는 모 신문사의 보도로 곤혹을 치르고 있다.
또 이같은 잇따른 사건들로 인해 공단에 대한 무분별한 개인정보 조회 및 유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대응책 마련에 대한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관련 기사에 따르면 공단 직원들이 한나라당 이명박 대선 후보와 박근혜 전 대표 등 유력 대선 주자들의 진료 및 보험료 부과 기록을 수시로 조회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또 지난달 29일 보건복지부와 공단에 따르면 공단 직원들이 2003년부터 지난 8월까지 4년 8개월간 이명박 후보와 박근혜 전 대표, 대통합민주신당 이해찬·손학규 후보, 천정배 의원의 건강보험 정보를 모두 130여 차례 조회했다고 보도했다.
이명박 후보 60여 건, 박근혜 전 대표 40여 건, 이해찬 후보 15건, 손학규 후보와 천정배 의원은 각각 7건이었으며, 특히 이명박 후보와 박근혜 전 대표의 경우 100여 건 중 절반 가량이 대선 유력 주자로 부각된 올 1~8월에 조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공단 관계자는 “국회의원으로부터 대선주자에 대한 개인정보 조회와 관련한 자료 요구로 조사 중에 있다”며 “조사 과정에서 일부 조회사실이 확인돼 특별감사로 전환, 개인별로 상세히 조사 중에 있다”고 밝혔다.
관계자는 또 “이번 사안에 대해 한 점 의혹이 없도록 조기에 특별감사를 완료할 것”이라며 “그 결과에 따라 해당 직원에 대해서는 중징계 조치는 물론 위법사항에 대해 관련 법령에 따라 형사고발 등의 조치를 취할 것이다. 또 빠른 시일 내에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을 수립하고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안정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