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자본비율 4년 연속 감소세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의 재무구조가 매년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4년간 병원의 자기자본비율이 연속 감소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하 진흥원)이 최근 발간한 ‘2006 보건산업백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병원의 재무구조는 지난 2001년 이후 4년 연속 악화되면서 전반적으로 상당히 취약한 상태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병원의 재무구조 건실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인 자기자본비율이 2001년 39.1%에서 2002년 37.1%, 2003년 34.9% 그리고 2004년 34.7%로 매년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데 따른 것이다.
특히 이 같은 현상은 160병상 미만 종합병원에서 두드러져, 이들 기관은 전년대비 무려 2.7%p의 자기자본율 감소를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병원의 의료사업수익(입원, 외래, 의료부대수익, 선택진료수익 등)대비 법인세 차감 후 순이익의 비율을 나타내는 의료수익 순이익률에 있어서도 2004년 현재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의 경우 -1%, 160∼299병상 -2.3%, 160병상 미만은 -6% 등으로 적자를 나타냈다.
2004년 현재 300병상 미만, 160병상 미만 종합병원의 100병상당 월평균 의료수익은 4억8백여만원, 4억1천2백여만원으로 각각 전년대비 4천여만원, 1천3백여만원이 줄어들었다.
이에 반해 의료사업수익 대비 의료원가율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상태다. 2004년 기준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의 의료원가율은 100.2%, 160병상 109.2%로 전년대비 각각 3%p, 1%p 가량 늘어났다.
진흥원 관계자는 “병원급 의료기관들은 인건비의 증가와 취약한 자기자본비율 등 구조적 요인 등을 내포하고 있다”면서 “비용절감 및 재무구조 개선 등 경영노력이 병행되지 않을 경우 지속적인 재무구조 및 경영수지 악화 가능성이 상존해 있다”고 분석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300병상 미만 기관들의 경우에는 의료수익감소와 의료원가율 증가의 이중고를 겪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신경철 기자 skc0581@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