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락·리베이트 등 비윤리적 관행 여전
67% “양심보다 회사이익 우선” 응답
최근 들어 이른바 ‘클린경영"을 선언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중소기업 직원들의 92%는 여전히 업계에 비윤리적 관행이 여전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1일 한국기업윤리경영연구원이 최근 전국 중소기업의 윤리경영 담당 임직원 1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윤리경영 의식 진단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비윤리적 산업관행이 ‘많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52%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조금 있다" 40%, ‘모르겠다" 5% 등의 순으로 나타나 전체의 92%가 비윤리적 산업관행이 존재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에 반해 비윤리적 산업관행이 ‘없다"라고 응답한 경우는 3%에 불과했다.
또 회사의 이익과 개인의 윤리적 양심이 충돌한 경험을 묻는 질문에는 67%가 ‘있다"는 대답을 했으며, 이들 가운데 24%는 이럴 때 ‘회사의 이익에 따른다"고 응답했다. 그냥 ‘상황에 따른다"라는 응답자도 43%를 보여 전체의 67%가 회사나 상황논리에 따라 자신의 양심보다 회사이익을 추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개인적 양심"에 따른다는 응답은 33%에 그쳤다.
아울러 윤리적으로 갈등하는 상황을 묻는 질문에는 ‘환락과 리베이트 제공받을 때"가 2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계약과 협의서 작성할 때(18%), 거래처와 직원에 대한 공평과 차별(18%), 가격담합행위(15%)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윤리적으로 충돌을 많이 하는 상대로는 협력업체(32%)가 가장 많았고, 이어 상사(22%), 소비자(9%), 경쟁자(8%), 직원(8%) 등의 순으로 꼽혔다. 이와 함께 법과 정부(6%), 동료(4%), 사회(3%), 주주(3%) 등도 마찰 대상으로 지목됐다.
이외에도 응답자들은 가장 없애고 싶은 비윤리 관행을 묻는 질문에는 ‘선물 및 향응과 뇌물증여(19%)’를 가장 많이 손에 꼽았으며 이어 ▲불성실한 계약체결 또는 관리(17%) ▲가격 차등과 불공정한 가격(13%) ▲직원들에 대한 불공정(12%) ▲가격담합(6%) ▲소비자 기만(6%) ▲불공정 신용행위(5%) ▲과장광고(4%) 등이 뒤를 따랐다.
기업윤리경영연구원은 “이번 조사결과 회사의 이익과 개인의 양심이 충돌한 상황에서 개인적인 양심을 지키기가 쉽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고 전했다.
신경철 기자
skc0581@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