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청·학계·시민단체 공통 잣대 만들어야
인태반의약품의 안전성에 대해 논란이 있는 만큼 식약청, 학계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전문가회의를 열어 인태반의약품 안전성에 대한 확실한 정부 방침이 내려져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장향숙 통합민주신당 의원은 지난 22일 열린 식품의약품안전청 국정감사에서 “인태반의약품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어느 누구도 확실하게 답변하지 못하고 있다”며 “식약청은 의약품으로 사용해도 아무 문제가 없다고 말하고는 있지만 한편에서는 광우병 위험지역 체류자에 대한 태반 적축을 배제하도록 권고하는 등 이중적 잣대를 적용하고 있다”고 문제점을 지적했다.
식약청은 2005년 11월 ‘인태반 유래의약품 안전관리방안’을 마련해 2006년부터 광우병위험국가 체류 산모로부터 인태반적출 자제를 권고했으나 권고조치를 하기까지 국내에 수입된 인태반의약품은 2003년부터 2006년까지 4년동안 총 5백52만6040앰플, 인태반 원료의약품은 총 1만6135kg, 1703리터가 수입됐으며, 인태반 화장품 원료는 총3764kg이 수입돼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충격적이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식약청에서는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나 시민단체에서는 문제가 있다고 주장해 정부와 시민단체가 큰 시각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장 의원은 “만일 아무런 위험성이 없다면 당당하게 수입해 사용하면 된다”며 “반면에 조금이라도 위험성이 있다면 사용금지 조치 등 강력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결국 식약청의 애매모호한 입장으로 인한 분란만 발생하고 있고 의약품을 사용해야 할 국민들만 피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안정미 기자 jmah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