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차원서 교합과 관련해 신뢰할 수 있는 임상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종합적인 교합가이드라인을 만드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지난 21일 열린 대한치과턱관절기능교합학회 총회에서 신임회장에 선임된 송광엽 회장은 “교합과 관련한 다양한 이론들이 홍수를 이루면서 개원의들이 실제 임상적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교합이론, 교합기 선택방법 등 교합관련 종합적인 ‘교합 가이드’를 학회차원서 지속적으로 만들어 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현재 개원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합기 대부분이 수입품인 만큼, 국산 업체등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동양인에 알맞은 교합기를 개발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송 회장은 “임플랜트 역시 처음에는 수입품 일색이었지만 현재는 다양한 국산 제품들이 개발돼 시장 우위를 점하고 있지 않냐”면서 “교합 관련 장비들도 국산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아울러 “최근 임플랜트가 치과 치료의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임플랜트 역시 보철물의 하나로 이를 오랫동안 유지, 관리하기 위해서는 생역학적 관점서 교합의 중요성을 빗겨 갈 수 없다”고 피력, “교합에 대한 임상가들의 갈증은 지속될 수밖에 없는 만큼 학회가 이러한 갈증을 해결할 수 있는 보편타당한 이론을 연구해 나가는데 주력 하겠다”고 덧붙였다.
송 회장은 끝으로 “학회를 대형화하기 보다는 교합을 공부하고자하는 실질적인 회원 위주로 알차고 내실 있게 학회를 운영 해 나갈 계획”이라면서 “관심 있는 회원들의 참여와 협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강은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