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 완 빈 <기술표준원 연구관>
국내 치과분야 표준기술 국제수준 발돋움
국제표준화기구(ISO) 치과기술위원회(TC 106) 총회는 통상 세계치과연맹(FDI)이 열리는 국가에서 총회 전·후에 개최되나, 금번 ISO/TC 106 총회는 FDI가 개최되는 두바이에 ISO/TC 106이 없어 독일 베를린 DIN(독일 표준화 대표기구) 건물에서 350여명의 델리게이터들이 참여한 가운데 10월 15일부터 20일까지 개최됐습니다.
한국대표단은 김경남 교수(연세치대)를 위원장으로 학계에서 김교한 교수(경북치대), 김광만 교수(연세치대), 고영무 교수(조선치대), 배태성 교수(전북치대), 임범순 교수(서울치대), 이용근 교수(서울치대), 박영준 교수(전남치대), 김백일 교수(연세치대), 배지명 교수(원 치대), 이용근 교수(연세치대), 권태엽 교수(경북치대), 전상호 교수(고대 치의학교실), 전용민 전공의(고대 치의학교실), 오형우 전공의(고대 치의학교실) 및 김남이 부장(연세치대) 등 16명과 업계에서 최인준 대표(오성엠앤디), (주)신흥 연구소 서정인 과장, 김연웅 과장, 김상인 대리와 최정수 대표(HT), 최석규 소장(메가젠), 최동민 팀장((주)베리콤) 등 7명, 기술표준원에서 저와 김은영 전문위원이 참가해 총 25명으로 구성돼 각 분과별로 충실한 활동을 수행했습니다.
이번 ISO/TC 106회의에서는 각 SC(Sub-committee)별 전문위원회 위원장을 주축으로 외국의 전문 델리게이터들 못지않게 아국의 의견을 개진하고 치과 분야별 국제표준화 동향을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SC 1(Filling & Restorative Materials)는 이용근 교수(서울 치대)와 최동민 팀장, SC 2 (Prosthodontic Materials)는 박영준 교수, SC 3(Terminology)는 김남이 부장, SC 4(Dental Instruments)는 김경남 교수와 최인준 대표, SC 6(Dental Equipment)는 서정인 과장과 김상인 대리, SC 7(Oral Care Products)은 김백일 교수, SC 8(Dental Implants)은 김교한 교수, Ad-Hoc 1(CADCAM System)은 김연웅 과장, WG 10(Biological Evaluation)은 김광만 교수께서 주축이 돼 SC별 WG(Working Group) 활동에 참여교수와 치과관련업체 델리게이터들이 역할분담을 해 조직적으로 업무를 수행했습니다.
특히, 이번 회의의 성과로는 2건의 표준화 연구결과 발표로서 SC 2/WG 10(Resilient Lining Materials)에서 전남 치대 박영준교수께서 수행한 ‘ISO/WD 10139-2 (Dentistry-Resilient lining materials for long-term use) 내용 중에서 Shore A hardness 시험방법’에 대해 한국, 미국, 일본, 독일 및 핀란드 등 5개국이 참여한 RRT(Round Robin Test) 평가를 시행한 결과, 결과에 큰 오차를 보인 일본과 달리 4개국이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아국에서는 추후 최근에 유기탄성체분야에서 작은 시료의 경도측정에 시험자의 오차를 줄이기 용이한 국제고무경도(IRHD, International Rubber Hardness Degree) 시험방법을 사용할 것을 제의했으며, 이는 별도 회의에서 논의키로 했습니다.
SC 7/WG 3(Oral rinse)에서는 4년 전부터 시중에 시판되는 구강양치액 중에서 pH가 5.5이하로 낮은 일부 제품들이 치아 표면을 부식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에 주목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평가법을 모색하기 위해 2006년도부터는 American Dental Association Foundation(ADAF)의 Clif Carey를 위원장으로 이 부분에 대한 준비를 진행해 왔습니다.
2006년도 베이징 ISO 미팅에서 ADAF가 제안한 “Screening method 방법”이 채택됐으나 ADAF의 screening method가 간편한 방법이기는 하지만 이 방법에 대한 타당성 확인을 위해 구강양치액의 부식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기존에 확립돼 있는 방법 또는 새로운 방법들을 이용해서 비교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여긴 결과, 향후 새롭게 진행할 ADAF Screening method와 새로운 평가법들을 동시에 개발 후 평가해보기로 의결했었습니다.
이 평가에는 미국의 ADAF, 미국의 인디애나 대학, 영국 브리스톨 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