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구액 4년새 21배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보험 급여 청구가 지난 4년동안 무려 21배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환자 수로는 3.3배가 늘어났지만 ‘ADHD 치료제’가 공부 잘하는 약으로 둔갑하면서 일부 정신과 등에서는 성적향상 등의 이유로 ADHD 치료약을 처방한 것으로 드러났다.
장복심 보건복지위 의원(대통합민주신당)은 지난 1일 보건복지부 종합 국감에서 공단과 심평원이 제출한 ‘ADHD 질환 진료내역’과 ‘ADHD 치료제 보험급여 청구 현황 및 현지조사 결과’ 보고서를 통해 ADHD 치료제인 메칠페니데이트 제제에 대한 청구액은 지난 2002년 5억6백93만원에서 지난해 1백7억5천5백60만원으로 최근 4년 동안 21배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환자 수 역시 2002년 1만6266명에서 지난해 5만3425명에 이어 올해 7월까지 4만2498명으로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으며, 특히 10대 청소년의 비중이 2002년 33%에서 올해 7월 48%로 꾸준히 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심평원이 ADHD 치료제 처방 비율이 높은 정신과의원 10곳을 조사한 결과 진료기록부에는 ADHD상병으로 기재돼 있으나 ADHD를 확진할 만한 증상기록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경철 기자 skc0581@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