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개편될 보건복지부 명칭에 ‘보건’이라는 명칭이 삽입돼 보건복지여성부로 확정발표된 것에는 치협과 보건의료단체들의 전방위적인 노력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정부조직 개편안 작업을 진행하면서 보건복지부와 여성가족부를 통합하고 그 명칭은 여성복지부나 여성가족부로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일부 언론에 흘려 보건의료계를 긴장시켰다.
만약 정부의 보건의료전담 부처 명칭에 보건이나 의료명칭이 사라지면 ‘복지’와 ‘여성’에 밀려 국민 건강을 책임지는 보건의료계가 홀대받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치협을 비롯, 6개 보건의료 단체는 지난 8일 성명을 내고 “새로운 보건복지부 명칭에는 반드시 보건이나 의료 명칭이 들어가야 한다”고 강력 주장했다.
이명박 당선인을 지지했던 의료인 모임인 청메포럼도 “OECD 국가 중 건강이나 의료명칭을 사용하지 않는 나라가 없는 만큼, 전향적인 검토를 바란다”고 촉구한 바 있다.
그러나 지난 16일 인수위 조직개편안 발표 하루 전 까지만 해도 새로운 보건복지부의 명칭이 여성복지부로 사실상 확정됐다는 전망이 나왔으며, 일부 일간신문이나 방송 등에서도 이를 기정사실화 했다.
이에 따라 안성모 협회장은 지난 15일 오후 국회를 방문, 정형근 한나라당 최고위원을 면담하고 새로운 복지부 명칭에 반드시 보건이나 의료라는 명칭이 사용돼야 한다는 보건의료계 입장을 재차 전달했다.
이에 대해 정 의원은 “안 협회장의 말이 옳다” 면서 “외국에서는 어떻게 사용하는지 사례가 있으면 바로 달라. 강력히 이의 제기를 하겠다”고 밝혔다.
안 협회장은 또 “치협이 이번 보건복지부 직제개편 중에 구강보건의료정책관 설치를 강력추진한다”면서 이에 대한 지지를 부탁했다.
이와 관련 정 의원은 “타당성 있는 연구 자료가 있으면 의원실로 보내달라”면서 협조 의향을 밝혔다.
이날 면담에 대해 정형근 의원실 관계자는 “인수위원회가 조직 개편안 발표 전 국회보고가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정 의원을 비롯해 몇몇 의원들이 새로운 복지부 명칭에 반드시 보건 명칭이 포함돼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해 받아들여 진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박동운 기자 dongwoo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