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원가·공직 평행선 팽팽
A 학회 관계자는 “전문의가 많이 배출된다는 것은 아직 먼 미래의 일이기 때문에 개원의들이 두려워 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아울러 “전문의 숫자를 졸업생의 8%로 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다”며 “전문의제도가 제대로 시행이 되려면 전체 치과의사의 20%는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현재로는 1%도 안되는 숫자인데 (개원가에서) 너무 과민하게 반응하는 것 같다”고 밝혔다.
B 분과학회 회장은 “치과의사전문의는 자격시험이기 때문에 일정한 자격만 가지면 모두 합격하는 것이 타당한 것”이라며 “처음 선발 시 수련치과병원에 필요한 인원을 배정한 것이 아니라 적정하다고 생각한 인원을 배정한 것이고, 이미 선발이 돼서 적당한 교육을 받고 실력을 갖췄으면 당연히 시험에 합격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C 지부장은 이번 전문의 결과와 관련해 “실망스럽다. 공직이 자기 식구 감싸기로 치과계 전체를 흔들었다”면서 “전문의를 아예 의과처럼 다 허용하든지 아니면 모든 대책을 원점에서 다시 생각해봐야할 단계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C 지부장은 또 “이 같은 결과는 전체 대의원의 의사를 무시한 처사다. 법적인 문제가 없다면 전문의 문항을 공개했으면 한다”며 “노력한 흔적이 보이지 않는다. 이렇게 배출한 전문의가 무슨 의미가 있는가”라고 반문했다. C 지부장은 추후 지부장협의회를 통해 의견을 교환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D 지부장은 “전체 치과계가 바라던 결과는 결코 아니다. 꼭 8%가 아니더라도 최소한 소수정예라는 기본적인 원칙은 지켜졌어야 했다”면서 “이것은 2만여 치과의사 회원들과의 약속으로 공직에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E 지부장은 “말도 안 되는 결과다. 전문의 시험 자체가 변별력이 없었던 것 아니냐는 의견이 나온다”면서 “공직지부에 속은 것으로 당시 총회에서 이를 공언했던 주도자들은 쏙 빠졌다”면서 공직을 비판했다. 아울러 E 지부장은 “치협이나 시행위의 잘못도 있다. 향후 순차적으로, 단계적으로 전문의 수를 조정해 줄여나가는 수 밖에 없다”면서 “치협, 시행위에서 이를 어떻게 이행해나가는지 예의 주시하겠다”고 덧붙였다.
김용재 기자 yonggari45@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