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협 집행부 임시이사회 개최
치과의사전문의제도 시행위원회(위원장 이수구·이하 시행위)가 전문의 대량배출 사태에 책임을 통감하고 총사퇴를 결의했지만 치협 임시이사회는 ‘전문의 해결 방안 모색이 최우선’이라는 이유를 들어 총사퇴를 반려했다.
안성모 협회장을 비롯한 치협 집행부는 지난 2일 전문의 문제를 논의키 위해 긴급 임시이사회를 앰배서더호텔에서 열었다.
이날 임시이사회는 시행위 총사퇴 건과 함께 얽혀 있는 전문의 실타래를 풀기 위한 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치협 임원들은 ‘시행위가 책임을 지고 총사퇴하는 것이 마땅하다’는 의견과 ‘대안없이 총사퇴하는 것은 무책임하다’는 의견이 팽팽히 맞섰다.
‘시행위가 책임을 지고 총사퇴하는 것이 마땅하다’라는 배경에는 “전문의 배출의 중심에 있었던 시행위가 모든 책임을 지고 총사퇴하는 한편 전문의 관련 새로운 특별위원회를 조직, 새롭게 거듭나야 한다”는 입장으로 정리된다.
반면 ‘뚜렷한 대안없이 시행위가 총사퇴하는 것은 무책임하다’는 주장의 골자는 “사퇴가 능사는 아니다. 수 년 동안 전문의를 담당, 전문의와 관련해 가장 많은 부분을 알고 있는 전문가 조직으로서 시행위는 사퇴를 말하기에 앞서 이번 사태를 해결할 대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이날 임시이사회는 참석한 임원들이 두 의견을 놓고 심도 깊은 논의를 한 끝에 시행위 사퇴 ‘반려’라는 결정을 내렸다. 사퇴보다는 전문의 대안 마련이 최우선이라는 집행부의 의지로 해석된다.
결국, 시행위는 이번 전문의 대량 배출에 대한 책임을 지고 소수정예 전문의 배출의 문제점과 어려웠던 부분을 중심으로 ‘백서’를 마련하고, 오는 4월 정기대의원총회에 이를 보고키로 했다.
특히 치협은 이와는 별도로 한시적으로 (가칭)전문의대책시행특별위원회(이하 전문의 특위)를 구성, 전문의 소수배출을 위한 방안을 전담하는 조직으로 활성화시킨다는 복안을 세웠다. 전문의 특위 구성은 치협 회장단에 위임키로 했다.
김용재 기자
yonggari45@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