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원 전문의소수배출특별대책위원회 위원장
표류하고 있는 치과의사 전문의제도(이하 전문의)를 살리기 위한 구원투수가 등장했다. 치과의사전문의제도 시행위원회(이하 시행위) 위원으로 개원가를 가장 잘 대변했고, 그래서 ‘강성’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김동원 위원. 그가 뒤엉킨 전문의 해법을 위해 한시적으로 구성된 전문의소수배출특별대책위원회(위원장 김동원·이하 전문의 특위) 위원장이라는 중책을 맡았다. 어떤 해법을 강구하고 있을지 치과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전문의가 치과계 최대의 화두로 떠오른 이 같은 시점에 중책을 맡아 매우 어깨가 무겁고 비통한 심정이다. 치과계를 위한 전문의를 양성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 하겠다”는 그의 소감에서 비장함이 느껴졌다.
김 위원장은 “이번 전문의 전형은 변별력을 잃었고, 전문의 자격 인증을 하기 위한 시험이 되지 못했다”고 전제한 뒤 “시행위가 여러 난관에 부딪혀 이행하지 못했던 부분을 조목조목 따져 법적인 문제와 제도상의 문제 등을 포함한 대책을 내놓을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그는 “이 같은 대책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전문의 전형 문항 출제교수들의(공직) 적극적인 협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과연 전문의제도의 안정화를 위해 어떤 방안을 구상하고 있을지를 물어봤다. 그가 예로 든 대책 중에는 전문의 시험범위 확대 및 구술시험이 포함된 전형 단계 조정, 기초치의학 문제 포함, 전공의 수 대폭 감소, 수련병원 지정 강화 등이 포함돼 있다.
김 위원장은 “대책 중에는 전문의제도가 안정적으로 뿌리 내리기 위해 아직 공개하기 어려운 강경한 대책도 강구될 수 있다”면서 “특위에서 결론을 내릴 순 없겠지만 지부장회의, 대의원총회 등을 거쳐 합리적인 방안을 내놓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김 위원장은 “소수정예 8%를 맞추기 위해 단 1%의 가능성이 있는 방안이라도, 실행될 수 있다는 생각으로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실제로 전문의 특위는 설 연휴 직후 위원 인선 작업을 마무리하고, 지난 14일에 특위 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첫 회의를 열었다. 김 위원장은 “첫 회의이기 때문에 전문의 특위의 향후 운영 방안에 대해 전반적으로 짚어보는 자리가 됐다”고 평가했다.
김 위원장은 “대의원총회 전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만큼, TF팀 형식으로 발 빠르게 운영될 것”이라면서 “앞으로 3~4차례의 회의를 통해 전문의 해법을 제시하겠다”고 덧붙였다. 전문의 특위는 민감한 사안인 만큼 당분간 비공개로 운영될 예정이며, 판단에 따라서는 언론에 대책을 공개할 수 있다는 뜻도 전했다.
김 위원장은 “양질의 전문의를 양성해 내기 위한 치과계의 염원이 헛되지 않기를 바란다”면서 “특위 위원장이 된 만큼, 효과적인 대책을 내놓을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지난 1974년 서울치대를 졸업한 김 위원장은 현재 광진구에서 푸른치과의원을 개원하고 있으며, 전문의제도 정착을 위해 15년 간 전문의 관련 업무의 중심에서 활동하는 등 전문의제도의 산증인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인물이다.
김용재 기자 yonggari45@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