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전문의 과다배출…개원가 “화났다” 서울지부·구회장협의회 성명서 채택

관리자 기자  2008.02.21 00:00:00

기사프린트

첫 치과의사 전문의가 응시생의 95.7%인 220명이 배출된데 따른 개원가의 반발이 점차 거세지고 있다.


건치가 합격자 발표일인 지난달 1일 성명서를 발표한데 이어 전문의 문제에서 개원가를 대변해온 서울지부(회장 김성옥)과 서울시 25개 구회장협의회(회장 최인호)가 지난 13일 앰베서더호텔에서 서치임원 및 구회장 총무이사 긴급 연석회의를 열고 성명서를 채택했다.
지난 16일에는 지부회장들이 경남 창원에서 시도지부장협의회를 열고 앞으로의 대책 등을 다각도로 논의했다.
서치와 구회장협의회는 이날 연석회의에서 채택한 성명서에서 “‘8% 소수정예’라는 치과계의 대원칙이 일거에 무너졌다”며 “소수정예의 대원칙은 전 회원과의 약속이며, 치과계 미래를 위한 절체 절명의 원칙이므로 반드시 지켜져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특히 “이상적인 전문의제도가 발전할 기틀이 보이지 않는다면, 전문의제도를 원점에서 재논의 해야한다”고 밝히고 “이에 반하는 어떠한 행위에 대해서도 강력히 대응할 것 임”을 천명했다.
서치와 구회장들은 또 ▲과다한 전공의 모집 정원을 즉각적으로 대폭 줄일 것과 ▲문제은행에 들어있는 변별력 없는 모든 문제들을 즉각 공개하고 새로운 문제들로 구성할 것을 요구했다.
한발 더 나아가 이들은 치협 집행부는 현 사태에 책임을 지고 회원들에게 공개 사과할 것과 이러한 결과를 초래한 문제은행 관련 출제 교수들에게는 그 책임을 엄중 문책하라고 주문했다.
서치와 구회장협의회는 “최근까지 이미 전문의 소수정예 원칙이 흔들리고 있는 조짐을 감지했음에도 불구, 치밀한 사전 준비 작업에 소홀하여 전체 치과의사의 총의에 반함으로써, 결국 현 사태에 이르게 되었다고 판단된다”며 “치협 현 집행부는 전체 치과의사의 총의를 오도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아울러 “치협은 올해 말까지 한시적인 1차 의료기관 전문 과목 표방금지 조항을 치과의료전달체계가 확립되기 전까지 전문 과목 표방이 불가하도록 관련법 개정을 이끌어 내라”고 촉구했다.
김성옥 서울지부 회장은 “전문의제도 실패는 며칠전 불타버린 남대문이 무너져 내린 것과 비교될 수 있다”며 “전문의 배출은 의료광고, 과대광고, 과당경쟁 문제와 직결돼 그 여파로 일반 회원들이 어려움을 겪을 것은 자명하다”고 우려했다.
최인호 협의회 회장은 “학교와 개원가가 등지는 한이 있더라도 확실한 모습을 보여야 한다”며 “수련의 운영병원이 정 협조하지 않으면 회원권리 정지라도 시키는 결의가 있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모 구회장은 “효력정지 가처분신청 등 법적인 조치를 취해야 막을 수 있다”면서 “전문의제도를 아예 무효화 시키고 원점에서 재논의 하자”고 주장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전문의제도 자체를 백지화 시키는 것이 의미가 있다’고까지 주장하는 등 공직에 대한 강한 불만을 표시하면서 관련자들을 엄중 문책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한편, 앞으로 소수정예를 고수할 지와 대폭 개방을 놓고 참석자들의 의견을 조사한 결과 구 임원들의 대다수가 소수정예를 고수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윤복 기자 bok@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