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치과의사전문의 전형의 변별력에 대한 논란이 불거지고 있는 가운데 치과계 안팎의 문항 및 답안공개 요구가 거세게 일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최근 전문의 시험 탈락자 10명 중 4명이 치협에 답안을 공개하고 재평가 해 줄 것을 요구했다. 이들 탈락자들은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행정소송도 불사하겠다는 뜻을 전달하는 등 매우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전문의 시험 탈락자 4명은 “답안 작성 내용을 확인해 보고 다른 지원자들과 비교해 본 결과 60점 이하의 점수를 받기 어려웠다. 시험 모법답안 및 탈락자를 포함한 합격자들의 답안 공개를 요청하고 이에 대한 정확한 재평가가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는 별도로 이미 일부 지부에서 성명서를 통해 문항 공개를 요구한 바 있으며, 지부장협의회와 전문의제도 시행위원 중 일부도 문항 공개의 필요성을 제기한 바 있어, 문항과 답안 공개가 탄력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서울지부는 지난 13일 성명서를 통해 “문제은행에 들어있는 변별력 없는 모든 문제를 즉각 공개하고, 새로운 문제로 구성할 것”을 주문했으며, 지난 16일 열린 지부장협의회에서도 문항공개 요구가 거셌다.
한편 최근 열린 시행위에서 모 시행위 위원은 “시험 문항의 변별도가 매우 의심된다”면서 “문항을 공개해 재평가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시행위는 “문항 공개가 법적인 문제가 없는지 논의해 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와 관련 양승욱 치협 고문 변호사는 “치과의사 전문의 시험이 보건복지부의 위탁을 받고 진행하는 부분이라 엄밀히 말하면 시험의 주체는 보건복지부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복지부와 문항공개에 법적인 문제점이 없는지 협의해 나가는 것이 합당하다”고 밝혔다.
김동원 전문의소수배출대책특별위원회 위원장은 “문항공개와 관련해 불이익을 받는 이들이 없다면 보건복지부와 법적인 협의를 거친 후 문항공개도 고려해 볼 수 있다”면서 “아울러 각 분과학회에 이번 전문의 시험이 과연 전문의 인증을 받기에 충분한 변별도가 있었는지도 질의서를 보내 확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용재 기자 yonggari45@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