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이 보건복지가족부장관 내정자가 국회 인사청문회를 시작하기도 전부터 이전 전력이 잇달아 언론의 도마위에 올랐다.
특히 헤럴드경제는 지난 20일자 1면 보도를 통해 “당시 청소년보호위원회 위원장이던 김 내정자가 국회 정무위에서 공금유용 의혹이 불거진 뒤 두 달 후인 2002년 1월 9일 돌연 사표를 제출했다”고 보도했다.
이에대해 김 내정자는 “해명자료를 통해 당시 청소년보호위원회 위원장을 그만둔 것은 원 소속기관인 이화여대로부터 휴직기간이 1년 6개월이라는 기준을 통보받고 위원장직을 사임한 것”이라며 “공금유용 의혹이 불거진 뒤 사표를 제출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다.
김 내정자는 또 “업무추진비 1천2백80만원을 인출해 개인적으로 보관, 사용했다”는 부분에 대해 “단지 회계담당자가 현금을 보관하고 있었을 뿐이며 이를 다른 목적에 사용한 사실이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당시 위원장으로 지방순회시 청소년지원 관련단체의 격려금으로 사용하기 위해 현금 1천6백만원을 인출, 일부인 3백20만원은 집행했으나 이후 일부 지방순회가 지연됨에 따라 회계담당자가 격려금을 반납하지 못하고 일정기간 보관하고 있었다는 것.
또한 이 사실이 국무조정실 감사에 지적되어 바로 반납조치 했으며, 이와관련 회계처리를 잘못한데 대한 책임으로 회계담당자가 적절한 조치(경고)를 받고 종결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조선일보를 비롯한 주요일간지도 21일자 보도를 통해 김 내정자의 과거 전력을 문제삼으며, 김 내정자가 공인으로 사익을 우선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고 꼬집었다.
또한 조선일보 등은 지난 22일에도 대학 교수인 김 내정자가 ‘자기 표절’ 등의 방법으로 5개의 논문을 12곳에 중복 게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이 내정자는 “연구논문을 학술지에 싣고 단행본으로 내는 것은 표절이 아니다”며 “청소년 복지 등의 문제에 대한 관심을 넓히기 위한 열정으로 봐달라”고 당부했다. 이윤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