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바이오치료 연구 국가가 나서야” 삼성경제연, 미래기술 금융 활성화 절실

관리자 기자  2008.03.13 00:00:00

기사프린트

세포나 유전자, 바이오장기를 배양해 비정상적인 부분을 대체하는 바이오치료에 대해서는 국가가 나서서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임영모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국가가 주도해야 할 6대 미래기술’이라는 최근 연구보고서에서 바이오치료와 바이오신약을 포함한 바이오제약 분야를 6대 미래기술의 하나로 꼽았다.
보고서는 바이오제약의 경우 난치병 정복 등 보건·의료의 질 향상에 필수적이면서도 새로운 시장 창출 가능성도 크다고 설명했다.


10년 내 유전자 4만여 종의 기능이 규명될 전망으로 뇌신경질환·암 등 난치병을 정복하는 데 필수적일 뿐만 아니라 2012년에는 2900억 달러에 이르는 거대시장이 형성될 것이라는 것이다.
특히 바이오치료는 기존 약물이나 수술로는 치료할 수 없는 난치병까지도 치료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어 중점적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비정상 세포·유전자를 정상인 것으로 대체하기 때문에 치료효과가 지속적이고, 우리나라의 경우 상대적으로 연구성과가 좋아 지속적인 R&D 투자가 뒷받침되면 좋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우리나라의 인간 배아줄기세포 분야 논문 발표 건수는 1998~2007년 기준으로 미국(159편), 이스라엘(55편), 영국(50편)에 이어 4위(33편)에 올라 있다.
임영모 연구원은 국가 R&D 전략의 강화를 위해 초기단계로 불확실성이 큰 사업에 대해서는 정부가 미래기술에 대한 적극적인 수요자가 돼 시장을 형성해줄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개발된 미래기술을 활용한 창업활성화를 위해 기술금융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강은정 기자 huma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