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치아를 살릴 것인가 혹은 임플랜트를 할 것인가?
-개개치아의 예후
① pocket 제거 가능 여부 : pocket depth가 5mm 이상시 periodontal pathogen의 존재로 임플랜트 식립시 예후에 악영향
② 환자의 maintain능력 : 환자의 compliance가 중요
③ splint필요성
④ esthetic result에 대한 만족도
-Recipe for periodontal treatment
debridement → stabilization → pocket제거 → maintenance
-Periodontally compromized dentition
bone loss/furcation involvement/missing teeth/tooth mobility/occlusal trauma
2. 부분 무치악 환자들에게서 치주조직향상과 성공적인 임플랜트 치료방법
-Regeneration ≠ long junctional epithelium
-Bowers in 1989
graft 부위의 regeneration, non-graft부위의 long junctional epithelium 관찰
allograft material 사용 시작
-infrabony defect가 있는 경우 bone loss 가능성 증가
→ infrabony defect에 Bio-Oss를 적용할 경우 Sharpey"s fiber 및 new cementum 형성 관찰됨
3. Growth factor를 이용한 최신 골형성법
-Tissue engineering
① Scaffold : CaPO4
② Cell : Osteoblast, Fibroblast, Chondrocyte
③ Signalling molecule : Growth factor, Morphogens adhesions
-Growth factor(BMP-2, PDGF, PRP 등)의 역할
Differentiation/Chemotaxis/Proliferation/Production of extracellular matrix/Angiogenesis
-Vertical jaw augmentation in a dog model
P1, P2, P3, P4 발치 후 구치부 ridge에 M-D 3Cm, vertical 1Cm의 defect형성 후 3개월의 healing 기간을 거친 후 다음과 같이 처리
① block bone + Bio-Guide membrane → regeneration 실패
② block bone + Bio-Oss + PDGF → new bone 형성 및 Bio-Oss 흡수로 성공적 결과
③ block bone + Bio-Oss + PDGF + Bio-Guide membrane
4. 전치부 심미를 위한 최선의 전략
-발치 계획 → soft tissue evaluation 및 treatment → 발치 → alveolar ridge evaluation 및 treatment → implant 식립
-biologic width의 고려 / bone level의 현실적 평가 / prominent rooted teeth의 buccal plate 보존 / bone level의 유지 / lip line고려
-임플랜트 식립시 implant shoulder는 bone level에 맞추도록 하며 bone level 하방으로 심게 될 경우 골소실 발생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