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집행부 “시간 두고 지켜봐 달라”
치과계 초미의 관심사인 치과의사전문의제도(이하 전문의제도)가 소수정예 8%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가닥이 잡혔다.
지난달 26일 열린 치협 정기대의원총회 일반안건 심의에서 ‘전문의제도 소수정예 8% 고수’ 가부를 묻는 표결에서 재석 대의원 137명 중 81명이 찬성, 과반수 이상을 획득해 소수정예 8%를 고수하는 방향으로 결론이 났다.
이로써 대의원총회는 신임 집행부에 전문의소수배출특별대책위원회(위원장 김동원 · 이하 전문의특위)가 제시한 전문의 백서 및 특위 건의안을 바탕으로 전문의 소수정예를 추진해 줄 것을 재천명했다.
전문의특위는 첫 전문의 배출이 220명으로 확정된 이후 구성된 특별위원회로서 지난 2월 구성 이후 수차례의 회의를 통해 소수정예 8% 고수 방안을 모색해왔다.
이날 전문의제도 첫 시행이 파행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을 언급한 김동원 위원장은 “전공의 수가 너무 많은 것을 비롯해 전형 시스템 대해 너무 간과했으며, 시험으로 소수정예 조정이 가능하다는 공직측의 의견을 100% 믿었던 것이 잘못”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김 위원장은 “그러나 소수정예 8%의 키를 쥐고 있는 것도 공직”이라며 “치대 교수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특히 “향후 전문의 전형 과정에서 공직(치대 교수)의 협조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전형에서 배제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라고 발언, 공직측을 압박했다.
김 위원장이 이날 제시한 전문의 소수정예 대책 방안의 주요 골자는 전공의 수 대폭 감축, 전형 방법 강화, 수련기관 지정 강화 등으로 요약된다.
김 위원장은 “앞으로는 일단 전공의 수를 최소 15%에서 1/3 정도로 줄이는 방안과 함께 다양한 전형 과정을 통해 변별력을 키우고, 다수의 질 높은 문제를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라며, “만약 전문의 시험과 관련 국내 출제가 부적합하다면 해외에서 할 수도 있다”고 발언하는 등 전문의제도의 올바른 정착에 강력한 의지를 천명했다.
한편 이날 전문의 전형 파행의 책임을 공직으로 몰아가는 분위기에 대해 공직지부 대의원들은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못했다.
이재봉 공직지부 대의원은 “공직도 임의 수련 시 525명이었던 수련의를 220명으로 줄이는 등 노력해 왔다. 공직이 마치 직무유기를 한 것처럼 말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반박했다.
홍형표 전남지부 대의원도 “실제로 안 될 일(소수정예 8%)을 만들어 두고 모든 것을 공직에 미루는 것이 문제”라는 의견을 피력했다.
이수구 신임 협회장은 전문의제도와 관련 치협에서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올바른 정착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지난 3년간 시행위원장을 맡아 51차 대의원총회 결의를 지키지 못한 점은 사과드린다”면서 “이번에도 소수정예 8%가 결의된 만큼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신임 협회장은 또 “AGD코스 등이 정착 단계로 진입했으며, 집행부 임기가 끝날 때까지 전공의를 줄여나가는 노력이 성과로 나타날 때까지 시간을 두고 지켜봐주기 바란다”면서 “전문의특위에서 밝혔듯 여러 방안이 있으므로 몇 년 후에는 소수정예가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용재 기자 yonggari45@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