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의권회복위원회 긴급 회의
치과계가 지상파 언론으로부터 부당청구 보도로 인해 또 뒤통수를 맞았다. 치협은 치의권회복위원회(위원장 이원균·이하 위원회)를 긴급 가동, SBS 방송에 정정 보도 및 언론중재위원회 제소와 명예훼손 소송을 진행키로 하는 등 강도 높은 대응을 하고 나섰다.
지난 18일 SBS 8시 뉴스는 ‘치과 80% 부당청구’ 보도를 통해 최영희 민주당 국회의원과 심평원 관계자들의 주장을 여과 없이 보도, 치과계를 파렴치한 집단으로 몰아갔다.
SBS 8시 뉴스는 최영희 민주당 국회의원의 자료 등을 인용하며 “치과만을 대상으로 표본조사를 실시한 결과 30개 병의원 가운데 무려 80%인 24곳이 허위로 보험금 2억 원을 타낸 것으로 드러났다”면서 “치과의 부당수령 비율은 일반 병의원 보다 30% 포인트 가까이 높은 수치이며, 상당히 일반화되고 있어 전수조사는 물론 강력한 처벌이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그러나 다음날 보건복지가족부는 직접 해명에 나서 “표본이 된 30개 기관은 심사평가원이 부당청구 개연성이 높은 기관을 대상으로 기획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라고 밝히고, 일반 병의원과도 비슷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3면 관련 기사 참조>.
이에 치협은 지난 20일 즉각 위원회를 열고 문제가 된 SBS 보도를 시청하면서 대응 방안을 모색했다.
이날 대응 수위를 놓고 위원들 간에 ‘강경론’과 ‘신중론’이 대두됐으나 오보임을 증명하는 해명자료를 정부부처에서 배포한 점과 회원들의 정서 등을 고려해 치협에서 취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 강력 대응키로 의견을 모았다.
박영채 위원(치협 정보통신이사)은 “이번 SBS 보도로 인해 일선 회원들이 매우 격앙돼 있는 상태”라면서 “이미 보건복지가족부에서도 이번 보도가 오보라고 해명한 만큼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 강경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위원 중 일부는 치과계 내부에서 정기적인 건강보험청구 교육을 실시하는 등 부당청구를 줄이기 위해 꾸준한 노력을 하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권태호 위원(서울지부 부회장)은 “서울지부의 경우 일선 회원들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보험 교육을 통해 부당 청구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 오고 있다”면서 “사실이 아닌 보도에 대해서는 강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결국 위원회는 격론 끝에 SBS에 정정보도를 요구키로 하고 언론중재위원회 제소도 함께 진행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명예훼손과 관련된 소송은 치과계의 명예에 심각한 손상을 입혔다는 부분이 인정되는 만큼 치협 고문 변호사와 충분한 협의를 한 후 빠른 시일 내에 제기키로 했다.
이원균 위원장은 “이번 SBS 보도에 대해 회원들이 분개하고 있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면서 “치협에서는 허위보도로 인해 치과의사의 명예를 훼손한 부분에 대해서는 끝까지 책임 추궁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상복 홍보이사는 “신중하지 못한 SBS 보도에 대해 명확하게 책임을 묻을 것이며 치협에서 할 수 있는 모든 역량을 동원해 이번 사안을 마무리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치과계는 더욱이 최근 노인틀니 관련 보도를 하면서 비교적 치협의 의견을 잘 전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SBS에서 이 같은 악의적인 보도를 한 것에 충격적이라는 분위기다.
김용재 기자 yonggari45@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