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기증 시신 돈벌이 악용 의혹 비영리법인 불구 제약사에 공급

관리자 기자  2008.11.06 00:00:00

기사프린트

인도적 차원에서 비영리재단에 기증된 시신이 재단 설립자금을 지원한 특정 제약회사에 집중 인도돼 돈벌이 수단으로 이용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최영희 국회 보건복지가족위원회 민주당 의원은 지난달 24일 보건복지가족부 및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비영리재단인 대한인체조직은행이 기증받은 시신 14구가 모두 D제약 자회사인 (주)시지바이오로 제공됐다고 밝혔다.


최 의원에 따르면 인체조직은행은 이식용 피부나 뼛가루, 인대 등을 만들기 위해 시신을 기증 받아 공급하는 기관으로 지난 2007년 1월 국내에서 유일하게 비영리법인으로 허가를 받고 조직은행을 운영하고 있는 단체다.


이 법인은 설립 첫해 국내에서 기증된 시신 25구 가운데 40%인 10구를 인도받았고 올해에도 15구 중 9구를 인도받는 등 지금까지 19구의 시신을 기증받아 이중 부적합 판정이 난 5구를 제외한 시신 14구가 모두 인체조직 가공처리 업체인 (주)시지바이오에 제공됐다.
최 의원은 “대한인체조직은행은 허가 당시 신고한 재산 7억원 전액을 (주)시지바이오로부터 기증받은 것으로 드러났다”며 “순수 비영리법인이라고 믿고 필요한 환자들을 위해 시신을 기증했지만 사실상 대형 제약사의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한 꼴”이라고 비난했다.


최 의원은 또 “더욱이 올해 보건복지가족부는 국내 인체조직 수급률을 높이기 위해 ‘인체조직 기증 활성화사업’ 지원을 강화하고 비영리법인인 대한인체조직은행에 5억원을 지원해오고 있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제약사를 지원한 셈”이라며 “비영리법인인 대한인체조직은행과 제약사와의 유착관계 진상을 규명하기 위해 필요시 검찰 수사도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최 의원은 “이번 사건이 우리사회의 장기기증 및 인체조직기증 문화에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며 “인도적 정신에 의한 인체조직이나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해서는 순수한 비영리법인이 조직의 기증·채취부터 가공처리 및 분배까지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대기업의 자금에 휘둘리는 무늬만 비영리법인이 아닌 정말 순수한 비영리법인이 투명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도 중요하다”고 최 의원은 덧붙였다.
신경철 기자 skc0581@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