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변액보험 채권형 변경 유리

관리자 기자  2008.11.13 00:00:00

기사프린트

그럼 펀드가 다시 오를까요?


제 생각에는 중국펀드는 기본적으로 중국기업들의 영업실적이 현저하게 개선되고 인플레이션이 진정되며 소비가 활성화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중국정부에서 부양책을 계속 발표하고 있으나, 그 효과는 좀 더 기다려 보아야 할 것입니다.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중국 부동산시장에 일본식 불황이 오면 펀드기준가가 더 하락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그래서 비교적 안전한 국내 국공채 또는 우량기업 채권형 펀드를 가입하시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됩니다.


일본은 어떨까요? 일본 동경 주식시장의 니케이지수는 80년대 말에 무려 4만 선이었습니다. 지금은 1만 선 밑으로 내려와 있습니다. 일본주식에 장기투자한 사람은 원금의 반이상을 손해 보았습니다.
다우존스 지수는 지금 고점 대비해서 30% 이상 빠져 있습니다. 다시 회복되려면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릴지 단언할 수 있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리고 이미 펀드에 가입된 돈은 어떻게 할 것인가 고민이 많으실 겁니다. 어차피 펀드는 장기적으로 다시 오를 것으로 보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당장 필요한 돈이 아니면 장기적으로 보시고 기다리시거나, 아니면 이렇게 펀드 기준가가 하락했을 때 자녀나 배우자에게 증여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물론 상속, 증여세율이 내년부터 대폭 인하되니까 조금 기다리셨다가 내년에 증여하시면 더욱 좋겠지요. 또한 의사선생님이 많이 가입하신 변액보험, 특히 변액유니버설보험은 잘 판단하셔서 펀드변경을 검토해 보셔야 할 것입니다. 변액유니버설보험은 일년에 12번(보험사별로 다를 수 있음)까지 투자되는 유형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요즘같이 주식시장이 안 좋을 경우에는 주식형에서 채권형으로 투자유형을 바꾸어서 더 이상의 평가손이 발생하는 것을 막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물론 이미 불입된 보험금 및 거치식으로 가입하신 것은 또 다른 문제이고 제가 말씀드리는 것은 매월 얼마 이상 불입되고 있는 적립식 보험의 경우입니다.


적립식펀드도 계속되는 기준가격 하락이 부담스러우시면, 현재의 주식형에서 채권형으로 갈아타시는 것도 검토해 보셔야 합니다. 시장이 V자를 가정할때는 적립식 펀드가 효자이지만, 시장이 L자로 횡보할 때는 적립식펀드도 일반 펀드와 동일하게 평가손실을 피할 수 없습니다.
 문의 : emiclub@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