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치부에서 Contact point를 포함하지 않는 인접면 우식의 경우 Mylar strip을 잘 사용하면 매우 효과적입니다.
우선 한 가지 생각해야 할 것은 특히 enamel bonding의 경우 fresh하게 노출된 에나멜에 본딩을 하는 것이 매우 접착력이 뛰어나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bevel을 주는 목적이 여러 가지가 있지만 class 3 레진수복의 경우에도 와동이 결국 원을 그리게 되는데 margin을 따라 bevel을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런데 class 3인 경우 bur의 접근이 좋지 않은 경우도 많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etching을 하기 전에 metal strip을 사용해서 finishing을 미리 하는 것이 좋습니다. 통상적인 방법으로 본딩을 하고 레진을 충전하는데 마지막 레진을 올리고 중합하기 전 그림과 같이 Mylar strip을 당겨 adaptation을 증가시키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대개 한 손으로는 lingal 쪽에서 한 손으로는 buccal 쪽에서 잡아당기는데 가장 중요한 point는 잡아당기기 전 레진을 충전하는 시점에서 너무 overfilling을 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이렇게 Mylar strip을 사용하여 adaptation을 하면 매우 긴밀한 접착을 얻을 수 있어 매우 효과적입니다. 물론 contact point가 포함되지 않은 인접면 와동에 가능한 술식입니다.
<위 원고는 ‘조이풀 아이디어’에서 발췌한 내용이며 판권은 ‘나래출판사’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