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Dental 팡팡 아이디어]Worn anterior teeth의 레진을 이용한 수복

관리자 기자  2008.12.04 00:00:00

기사프린트

 

하악 전치부의 절단면이 마모되어 노출된 dentin 때문에 치료를 원하는 환자들이 종종 있습니다. 사실 대합치가 PFM 등의 보철물이 아닌 경우에도 절단부 마모를 볼 수 있는데 이런 경우 간단한 치료방법과 요령을 소개합니다.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을 살펴보면 절단부 마모가 enamel을 관통할 때 더 약한 dentin층이 파이기 시작하고 dentin의 지지를 받지 못하는 enamel rod의 융기된 ring을 남기게 되는데 이것은 음식물이 끼게 할 뿐더러 incisal edge가 거칠며 보기싫게 됩니다. 특히 하악 전치부에서 절단면이 마모되어 dentin층의 진한 색깔이 두드러져 보이고 치아의 원래 외형이 깨져 수복을 원하는 환자들이 종종 치과를 찾게 됩니다. Crown을 제작하는 것도 방법이 되겠지만 초기단계에서는 마모된 dentin층을 레진으로 수복하면 매우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마모된 절단면의 경계 부위를 잘 살펴보면 그림 1의 좌측과 같이 마모 양상이 상당히 불규칙하게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먼저 치료 전 Moor Disk 등으로 경계부위를 매끄럽게 다듬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 과정을 먼저 하지 않으면 상대적으로 최종 finishing 과정 중 시간이 훨씬 많이 걸립니다. Preparation은 그림 2와 같이 bevel을 줄 수도 있고, 그림 3처럼 그냥 Butt joint로 형성하는 방법이 있는데 마모 양상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다음 단계는 330bur나 506bur 등으로 마모된 절단면의 dentin 부위를 삭제하는데 실제로 이런 경우 secondary dentin이 많이 생겨 치수까지의 거리는 상당히 멀지만 미리 방사선촬영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지대치 형성을 마치면 마모면의 경계는 enamel에 의해 ring이 형성되었고 삭제된 dentin층은 와동을 형성하게 됩니다.


그 다음 단계로는 7901 bur로 인접치아의 marginal ridge 쪽을 cutting하게 되는데 이렇게 하면 훨씬 심미성이 증가됩니다. 이 상태에서 본딩시스템으로 접착처리를 하고 레진을 충전한 후 1급 와동 때와 마찬가지로 글러브로 문지른 다음 과잉레진을 제거하고 중합하면 치료가 마무리됩니다. 실제로 이 치료는 심미성도 많이 개선되지만 계속적인 dentin의 마모를 중지시킬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치료입니다. 한 가지 생각해야 할 것은 전치부가 마모된 만큼 교합고경은 줄어들지 않았다는 사실이므로 교합조정시 생각해야 합니다.
<위 원고는 ‘조이풀 아이디어’에서 발췌한 내용이며 판권은 ‘나래출판사’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