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수불사업 지역 6곳 모니터링 불소농도 적정 수준 못 미쳐

관리자 기자  2008.12.08 00:00:00

기사프린트

구강보건사업지원단 발표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이하 수불사업) 지역의 불소농도가 적정수준 이하인 것으로 나타나 철저한 관리감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류재인 구강보건사업지원단 부연구위원은 지난달 18일 구강보건사업지원단(단장 백대일·이하 지원단)과 보건복지가족부가 주최한 ‘08년도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 워크숍’에서 수불사업 안전성 모니터링 결과보고 발표 중 이같이 주장했다.


지원단은 수불사업의 안전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수불사업 기존 실시지역(경기 안성, 전남 남해군), 잠정중단지역(경기 남양주, 제주), 실시예정지역(인천 남동구, 경남 하동군) 등 모두 6곳을 선정해 만 3~7세 사이 아동의 소변불소농도를 조사했다.
그 결과 수불사업 실시지역을 비롯한 6곳 모두 치아우식증 예방효과를 기대키 어려운 낮은 수돗물 불소농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수불사업이 실시되고 있는 경기 안성과 전남 해남은 치아우식증 예방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과소농도 공급비율이 각각 60%, 30% 등 적정 수준 이하인 것으로 나타나 수불사업에 대한 적절한 감독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류재인 부연구위원은 “최대수준의 치아우식증예방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이미 수불사업이 실시되고 있는 지역이라도 불소농도를 점검해 현재보다 상향조정해 공급할 필요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류재인 부연구위원은 또 “수불실시 정수장과 미실시 정수장의 물이 섞여 불소농도가 희석이 될 수 있고 정수장의 수불측정기가 노후화돼 제대로 측정이 되지 못했을 수도 있다”며 “정부의 예산지원과 관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워크숍에 참석한 정우진 기원 수처리 사장도 “수불사업의 중요성과 효과에 대해서는 외국의 연구자료에도 잘 나타나 있지만 정부의 예산지원이나 노후된 장비의 교체가 아직 미흡한 상태”라며 “정부와 함께 정수장도 꾸준히 장비를 관리, 정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일해 기자 jih@kda.or.kr